논문 상세보기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의식 연구 : COVID 19 팬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KCI 등재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home training : Changes in fitness after Covid-19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6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TPB)을 바탕으로 코로나-19 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과 참여의사 및 참여행동에 관하여 인과 관계(SEM)를 적용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을 탐색하고, 생활체육 종목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 1일 ~ 2021년 5월 1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총 267명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 계획행동이론는 생활체육 참여의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PB는 생활체육 참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의사는 생활체육 참여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sed on the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explores the physical educ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the causal relationship (SEM) to life sports, participation inten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Covid-19 enviro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dicting life sports events. For this, a total of 267 people were analyzed using the mobile program “Survey Monkey” according to the sample plan from December 1, 2020 to May 1,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lanned behavior theo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The planned behavior theory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ife sports participation behavior. Lastly,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hysical sport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in physical spor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문제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2.2. 조사도구
    2.3.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2.4. 탐색적요인분석 결과
    2.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6. 상관관계 및 판별타당성 검증
    2.7.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
3. 결 과
    3.1. 가설검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주원(한국체육대학교 건강교육학) | Joo-Won Kim (Para Sports Gyeonggi, Office worker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김우식(고려대학교 국제스포츠학부) | Woo-Sik Kim (School of Global Sport Studies, Instructor,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