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Aggregation properties of Sodium hyaluronate with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6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NaHA)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를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특정 농도에서 최소값(Cmin)을 나타내는 포물선 모양의 그래프를 보여주었다. 이 최소 농도 이상에서 계면장력의 증가는 공기와 물의 접촉면에서 NaHA사슬과 이합체 계면활성제들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형성과 관계있다고 생각된다. NaHA와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하나의 NaHA 음전하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양전하 비율을 보면 약간 양전하가 우세하나, 전체적으로 전하의 균형은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NaHA/이합체 계면활성제의 착물결합체에서 계면활성제 농도와 점성도의 관계가 비 선형성을 나타내는 것은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이 비 선형성은 착물체의 성장에 따른 크기 증가와 Cmin 농도 이상에서의 수축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A study on the associative properties of sodium hyaluronate (NaHA) and Alkane-bis (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tructure of surfactan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terfacial tension, a parabolic graph showing the minimum value (cmin) at a specific concentration was shown. Above this minimum concentration the increase in interfacial tension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ggregates of NaHA chains and dimeric surfactants. The plot of viscosity vs surfactant concentration shows a slight maxium at cmin and a viscosity decrease at high surfactant concentrations. Viscosity nonlinear behavior is related to the size increase due to the complex growth and to the size shrinkage following from the interaction with electrolyte ions and free micelles. The results of surface tension measurements show a broad region of surface tension decrease, indicating the NaHA-surfactant interaction. The increase in surface tension above cmin may be related to the adsorption of clusters, consisting of free NaHA chains and dimeric surfactant. The strong adsorption of surfactant is observed at high concentration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토론
    3.1. 표면장력
    3.2. 점성도
    3.3. 광산란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안범수(대진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생명화학부) | Beom-Shu Ahn (Division of Life Science & Chemistry, Daej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