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지각된 조직문화와 CEO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효과 - KCI 등재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38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5.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기반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의 조직 상황을 대변하는 조직문화와 CEO의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조절변수로서 개인-조직 적합성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 이노비즈 기업, 기업부설연구소 기업 등 기술기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264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조직문화 변수들에서 혁신지향문화는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위계지향문화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CEO의 변혁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트스트래핑 방법에 의한 조절효과 분석에서 개인-조직 적합성은 조직문화 및 CEO 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특히 종업원의 POF 수준에 따라서 조직문화와 CEO 리더십의 조직 상황이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혁신행동 연구에 있어 그동안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기술기반 중소기업으로 그 대상을 확장하였다. 또한 혁신행동의 선행변수로서 조직문화와 CEO의 변혁적 리더십이라는 맥적적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그리고 조절효과의 중요성을 감안해 POF라는 새로운 조절변수를 도입하고 다각적으로 활용 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기술기반 중소기업 특성에 맞는 유연한 조직문화와 CEO의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절변수인 POF가 채용과 배치 뿐만 아니라 조직 문화와 리더십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혁신행동을 활성화하는 관심이 있는 경영자 및 실무자에게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contextual variables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perceived innovative culture, perceived hierarchical culture, and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al fit(POF) was also examined on these relationship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4 employees working in technology-bas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including venture companies and inno-biz firms. W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on analyse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two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exerted differential influences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Perceived innovative culture wa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while perceived hierarchical culture was not.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We also analysed moderating effects using Process macro. The moderating effects of POF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outcome were significant. The result of Johnson-Neyman technique, however, showed different significance areas. This study contributes to innovation behavior research in several ways. First, research areas has been expanded to technology-based SMEs in Korea. Second, both organizational cultures and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simultaneously considered as the antecedents of innovative behavior. Third, significant moderating roles of POF were found,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personel selection based on POF.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managers and entrepreneurs interested in facilitating innovative behavior in their employe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present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기술기반 중소기업과 구성원의 혁신행동
    2. 조직문화와 혁신행동
    3.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4.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연구표본의 특성
    2. 변수의 측정
Ⅳ. 연구결과
    1.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2. 가설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이주용(한국외국어대학교) | Lee Juyong
  • 권석균(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 Kwun Seog-Kye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