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팀 공유감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지원 인식의 조절 효과 - KCI 등재

The Effects of Team Shared Mental on Team Performance - Mediation Effect of Team Cohesiveness and Moderatio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40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5.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들은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기술과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중요한 혁신의 원천 으로 창의성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이 가운데 조직차원의 창의성도 중요하지만 하위 단위부서인 팀 단위에서 팀 응집성, 팀 공유감과 팀 창의성(team creativity)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고 있다. 팀은 팀원들의 다양한 경험과 다양한 지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해 개인연구나 조직연구가 제공하지 못한 다양한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팀 연구 중, 기존 연구에서 많은 언급되었던 팀의 다양성 관점(diversity perspective)의 중요 변수인 팀 응집성과 최근 연구되고 있는 팀 교환 관계적 관점(exchange perspective)의 변수인 팀 공유감을 통해 팀 성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이때 인지된 조직지원 상황적 관계를 찾아보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의 설계는 한국기업의 팀 조사에서 팀 공유감과 팀 응집성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 고 있으며, 이때 인지된 조직지원이 이들 변수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를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팀 내 5-7명으로 구성된 84개 팀으로부터 432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이를 통계적 분석을 위한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팀 공유감과 팀 응집성은 팀 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팀 응집성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팀 공유감과 팀 성과의 관계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팀 응집성을 통해 팀 공유감이 팀 성과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팀 응집성과 팀 성과의 인과관계에서 인지된 조직지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았는 데 도출된 결과는 팀 응집성이 높고 인지된 조직지원이 높을 때 팀 성과에 매우 유의적인 정(+)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In general, team shared mental and team cohesiveness had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eam and organization, however some researches indicated the sign of mediation effect. Thus this study on the team relationships researched the mechanism of team cohesiveness between team shared mental and team performance which may be important factors for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 Al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sistency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eam performance.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filled up by the employees of formal organization rearrange team level. therefore to test these effects, 84 team unit sample was used by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mediation effect of team cohesiveness between team shared mental and team performance. Als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team cohesiveness–team performance relationship. Based on empirical evidence,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팀 공유감과 팀 성과
    2. 팀 응집성의 매개효과
    3. 인지된 조직인식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연구대상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표본의 특성
    4. 팀 수준 변수의 타당성 수집
Ⅳ. 실증분석 결과
    1.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3. 가설검증
Ⅴ. 결 론
    1. 연구의 시사점
참 고 문 헌
저자
  • 이희옥(경성대학교 경영학과) | Lee Hee Ok
  • 정동섭(경성대학교 경영학과) | Chung Dong-Seop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