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Q방법론을 활용한 코치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인식유형연구 KCI 등재

The Perception Types of Coaches' Occupational Values Using Q-method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코치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 인식유형을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전문코치를 양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코치의 직업가치관 인식유형을 구분하고 살펴보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Q 표본은 코치와 직업가치관에 관련된 문헌 고찰과 전문가 및 연구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총 40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P샘플은 (사)한국코치협회의 KAC 자격증을 소지한 30명의 코 치를 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코치의 직업 가치관에 대한 인식 유형은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유형 1은 생활방식이 안정적임을 추구하는 ‘실질적인 안정형’, 유형 2는 자기발전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려 하는 ‘성장과 변화를 촉진하는 자기발전형’, 유형 3은 성과 및 성취감을 추구하고 사회적 인정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정 욕구를 가진 성취형’으로 주관성 유형의 특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직업가치관에 대한 유형화된 코치의 주관성 특성을 바탕으로 코칭 문화 확산에 기여 하는 차원에서 전문코치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perception types on occupational values of coaches using Q methodology, to search for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in cultivating professional coaches. As to the research method, Q methodology was applied to classify and investigate recognition types on occupational values of the coach. P sampl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30 people with Korea Associate Coach (KAC) certification issued by Korea Coach Association (KCA). QUAN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ata.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recognition types on occupational values of the coach. First, there were subj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type as follows. Type 1 was ‘the practical, stable type’ who pursues a stable lifestyle. Type 2 was ‘the self-development type to promote growth’ who pursues self-development constantly. Type 3 was ‘the achievement type with the desire for recognition’, which aims at achieving a goal and feel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siders social recognition important. Consequently, the three types of coaches’ occupational values were discussed for expanding the coaching culture to provides base dat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Q 모집단 및 Q 표본
    2. P 표본
    3. Q 표본의 분류
Ⅲ. 연구결과
    1. 결과분석
    2. 인식유형 특성
    3. 일치항목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한결(동국대학교 대학원 상담코칭학과) | Lee Han-Kyul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Coaching, Dongguk University)
  • 이송이(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 Lee Song-Yi (Dharma College,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