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篆刻의 서체변천에 관한 소고 KCI 등재

Brief Review on the style change of the Seal Engraving

전각의 서체변천에 관한 소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9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篆刻의 역사는 문자의 형태가 온전하게 갖춰지기 전부터 도기에 문양과 부호를 찍으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印材에 새겨지는 주된 문자는 초기 신석기 시대의 부호표기에서 문자 표기로의 이행기를 거쳐 한자의 서체변천 과정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형태가 변하여 왔고, 전각의 시대적 요구와 용도의 특징에 따라 내용 또한 변천하여 왔다. 전각이라는 명칭은 印文에 사용되었던 서체가 주로 전서였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붙여진 것이다. 인문의 서체는 당대에 유행하던 전서 서체를 중심으로 갑골문, 금문, 대전, 소전 순으로 변하였고, 이후에는 예서와 해서도 사용되었다. 이는 전각의 용도가 실용에서 신표의 상징, 장식용 및 주술용, 예술적 영역의 표현으로 바뀌면서 인문에 새겨지는 내용 또한 달라졌고, 지역적인 특색의 영향으로 서체형태의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각의 서체변천은 실용적으로 사용되었던 관인과 사인, 봉니와 건축물의 와당문에서 후대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간략화시키고 쉽게 쓰려는 형태로 변천해 왔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하대에 이미 인문도의 紋飾에서 도기상의 부호를 새기는 과정에 갑골문이 탄생하였으며, 금문의 자형 또한 은대 청동기문식에서 1.2자가 새겨짐과 동시에 <은새삼과> 에서 서체변천을 주도하였고, 대전 또한 주대의 새인에서 변련과 인장의 형식을 갖추어 방정함을 띠게 되었다. 이후 중국이 통일을 이룬 진대에는 이러한 서체변천과정에서 소전으로 문자 통일을 이룸과 동시에 전각의 제도적 관리가 이루어지며, 인문의 자형이 소전체로 변해갔으나 사인에 있어서는 전 시대의 서체들이 동시에 새겨졌다. 이러한 제도를 계승한 한 대에는 백화만방한 인문서체의 시대를 열게 하여 전서와 예서, 그리고 춘추전국시대에 성행하였던 조충서, 수전, 무전 등의 다양한 서체가 사인에서 새겨져 예술적 표현 영역을 확대해 나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각이 서예의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영역을 차지 하고 있으며, 印工에 의해 금ㆍ은ㆍ동ㆍ옥에 새기었던 시대와 문인들에 의해 석인재에 스스로 각을 하던 시대의 풍격은 매우 차이가 났으나 전각의 인문과 측관, 봉니, 와당문에서 새겨지는 서체의 변천은 한자의 字體연변을 주도했으며, 또한 유행서체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고 하겠다.

The history of the seal engraving began by imprinting patterns and signs on the pottery before the shape of the letters was fully equipped. Therefore, the main characters engraved on printing material have changed correlated closely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ont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signing to lettering in the early Neolithic Era, and the contents hav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pose of seal engraving. The term ‘seal engraving’ was also given a comprehensive name because the typeface, which was mainly used in the letter written on seal, mainly represented Jeonseo. However, among Jeonseo, the font style of the letter written on seal, changed to Gapgolmun(甲骨文), Geummun(金文), Daejeon(大篆), Sojeon(小篆), marking the popular style of the time, and since then, Yeseo and Haeseo appeared. As the use of the seal engraving changed from practical to symbolic, decorative and magical, and artistic expressions of a sign of faith, the contents engraved in the letter written on seal also chang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font shape was changed and transformed due to the influ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in the style of the seal engraving have changed from the practically used Gwanin, Sain, Bongni, and Wadangmun of the building to a form that was naturally simplified and easily used as time goes by. Gapgolmun was already born in the process of engraving pottery signs in the decoration of letters of painting of the letter written on seal, and the shape of the Geum-mun lead the change of style in <Eunsaesamgwa(殷鉨三顆)>, engraving 1.2 letters in bronzeware The decoration of letters. of Shang dynasty at the same time, and Daejeon also took the upright form of a Byun-ryeonand seal in Saein in Zhou dynasty. Since then, in Qin dynasty, when China was unified, text unification was achieved as Sojeon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font style,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of the seal engraving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Shape of the letter written on seal has changed to Sojeon, but in terms of a Sain(私印), the fonts of the previous erawere engraved at the same time. In the Han Dynasty, which succeeded this system, various fonts such as Jeonseo, Yeseo, and Jochungseo, Sujeon, and Mujeon, which were prevalent in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were engraved in the Sain, expanding the area of artistic expression. It can be said that Seal engraving occupies a very important area of expression in the field of calligraphy, and the style of the era when engraved on gold, silver, copper, and jade by seal engraver(印 工) and engraving stones by writers themselves were very different, but the changes in the font style engraving on the letter written on seal, Cheukgwan(側款), Bongni(封泥) and Wadangmun(瓦當文)of seal engraving led the transition of Chinese character font style, and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popular font was reflect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官ㆍ私印印文및 邊款의 서체변천과 특징
    1. 印文의 서체변천
    2. 邊款의 서체변천
Ⅲ. 封泥, 瓦當文의 서체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이승연(원광대학교) | Lee Seungyeon (WonKw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