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용전공자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인식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Beauty Major's Recognition of VR-based Beauty Courses on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Recogn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3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자들의 VR 체험을 기반으로 한 미용교육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미 칠 기대의식을 바탕으로 VR을 기반으로 한 미용 교과목 개발과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총 106명 의 학습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VR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조 사결과, 학점이 높을수록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1). VR 기반 미용 교과목개발에 대한 인식은 VR기반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의 하위요인별 전문지식(r=.683, p<.001), 실 무능력(r=.676, p<.001), 산업관련인식(r=.54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관련 인식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용교육환경에서 전공자들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교과목 운영에 대한 기대를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표 본의 범위를 확대한 연구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beauty education based on VR experience of beauty majors will have on expertise and practical ability, it was attempted to develop VR-based beauty subjects and secu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A total of 106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onlin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VR-based beauty subjects, recognition of expertisee and practical skill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VR-based beauty subjects development (p<.01). The perception of VR-based beauty subject development was related to VR-based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for each sub-factor of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r=.683, p<.001), practical skills (r=.676, p<.001), and industry-related awareness (r=.543, p<.00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related percep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VR-based beauty subjects development, the higher the expectation that expertise, practical ability, and industry-related awareness would be improved.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R-based beauty subjects and expectations for course operation of majors in the beauty subjects environment were confirmed. In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ampl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연구의 필요성
    2.2. 연구의 목적
3. 연구내용 및 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의 구성
    3.3. 자료 분석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연구대상과 일반적 특징
    4.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4.3. 기술통계적 분석
    4.4. 상관관계 분석
    4.5. VR 기반 미용교과목개발에 대한 인식이VR 기반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4.6. 고찰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정희(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 Jung-Hee Lee (Dep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 문지선(중원대학교 의료뷰티케어학과, 교수) | Ji-Sun Moon (Dept. of Medical Beauty Care, Ju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