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Paranoiac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Logical Temporality Based Psychoanalysis
편집증은 정신증과 신경증의 경계선에 있는 증상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특정한 망상에 사로잡히며 주로 의처증이나 의부증으로 나타난다. 연구자는 편집증자가 특정한 망상에 사로잡히는 이유에 대하여 시간성의 통합에 실패한 것으로 보고, 하이데거의 시간성,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 라캉의 논리적 시간성 개념을 적용하여 내적 의식에서 시간성을 통합하기 위한 정신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시간성 기반 정신분석 초기에 아내가 바람을 피우고 있으며 바람 난 대상이 집에도 들어온 적이 있다고 생각하고 두 사람을 죽이기 위해 칼을 갈고 있다고 하였다. 시간성 기반 정신분석이 중기로 접어들며 분노와 억울함 을 만들었던 과거 시간의 사건들과 아내의 사랑과 헌신을 기억해내며 자기의 의처증이 틀렸을 수도 있겠 다고 언급하는 횟수가 늘어갔다. 후반에 가서는 아내와 화해를 하고 신혼과 같은 생활을 다시 시작하였다 고 하였다. 시간성 기반 정신분석이 끝나고 10개월을 지켜보았고 편집증이 재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 다. 단일사례이기 때문에 모든 대상에게 적용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시간성에 기반하여 정신분석을 진행하는 과정에 편집증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질적으로 기술하여 편집증자 및 상담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Paranoia is a symptom on the border between psychosis and neurosis, and those with paranoia are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caught up in certain delusions. This study supposes that people with paranoia might be obsessed with certain delusions because of their failure to integrate temporality. Therefore, psychoanalysis was conducted to integrate temporality in internal consciousness by applying Heidegger’s temporality, Husserl’s internal time consciousness, and Lacan’s logical temporality concept. At the beginning of the psychoanalysis, the participant said that his wife was cheating on him and that, in some occasion, the man of affair came into their house. By the middle of the psychoanalysis, he had remembered the past events that caused him feelings of anger and injustice, as well as his wife’s love and dedication, and he said that his conscience might have been wrong. In the second half, he reconciled with his wife and started to live as if he was in the honeymoon phase again. After the psychoanalysis, follow-up observation was done for 10 months and it was confirmed that paranoia did not recu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all subjects because it looks at a single case.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help people with paranoid and counselors by qualitatively describing how paranoiac people respond to the process of psychoanalysis based on logical tempor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