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hip Capacity Standard of Korean Harbour Facilities based on the Gross Tonnage - Focused on Anchorage among Water Facilities -
항만에 배치되는 수역시설 중 정박지는 대상 선박이 주묘되지 않고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면적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면적의 계산 시에는 대상 선박의 전장, 수심, 저질 등의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국내 각 항만의 항만시 설운영세칙(혹은 규정)에는 정박지의 선박수용능력 기준으로 총톤수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톤수 단위의 정박지 선박수용능력 기준을 선박의 전장으로 변환하여 실제 대상 선박의 투묘 중 선회 반경을 계산한 결과, 분석 대상 90개의 정박지 중 25개의 정박지(27.8%) 에서 선회 반경이 지정된 수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각 항만의 항만시설운영세칙(혹은 규 정) 상 정박지 선박수용능력 기준을 전장으로 개정하고, 관련 해사 법령의 해당 조항 개정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anchorage among harbour facilities should ensure sufficient water surface area for safe anchoring. A general method is to consider the L.O.A of the target ship and the depth and bottom quality of anchorage to calculate the water surface area of anchorage. However, the gross tonnage is used as a unit of the ship capacity standard of anchorage based on the detailed rules for harbour facilities oper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gross tonnage is converted to L.O.A to calculate the actual anchoring radius of the target ship. This actual anchoring radius exceeds at 25 anchorages (among 90 anchorages) compared with the designated water surface area. Therefore, as an improvement plan of the ship capacity standard for anchorage, L.O.A should be used as a unit for anchorage based on the detailed rules for harbour facilities operation and related Korean maritime l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