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s in Floral Pigments and Scent Compounds in Garden Roses during Floral Bud Development KCI 등재

정원 장미 개화 과정에서 화색소와 향기물질의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2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정원 장미에서 화색과 향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개화단계 동안 화색소와 향기물질 구성의 변화를 조사하였 다. 화색과 향기 특성이 다른 세 품종의 정원 장미를 식물재료로 이용하였다. ‘Faustinia’는 황색 꽃잎과 tea-type향을 가지며, ‘Liparfum’은 적색 꽃과 sweet-type향을, ‘Tchaikovsky Meichibon’ 은 약한 향의 백색 꽃을 피운다. 개화과정을 S1에서 S5까지 5단 계로 나뉘어 설정하였다. 세 품종에서 꽃과 꽃잎의 크기, 꽃잎의 생체중과 같은 형태적 특성은 S1에서 S4로 개화가 진행됨에 따 라 증가했다. ‘Faustinia’와 ‘Liparfum’은 S3까지 화색이 선명하고 밝아지고 이후 퇴색되어 a*와 b*값이 감소하였다. 세 품종 모두 향기는 S3~S4에서 가장 강했다가 S5에서 감소하였다. ‘Faustinia’ 의 총 카로티노이드와 ‘Liparfum’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S1대 비 S3에서 약 7.2~40.5배 증가하였고 S5에서 약 30.6%까지 현저 하게 감소하였다. 백색 계열 ‘Tchaikovsky Meichibon’의 화색소 함량은 개화 과정 중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S5에서 2.3배 감소하였다. 향기물질은 화색소 변화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2-phenylethanol과 3,5-dimethoxytholuene은 모든 품종 ‘Faustinia’ (84.2%), ‘Liparfum’(89.6%), ‘Tchaikovsky Meichibon’(94.8%) 에서 높은 함량비율을 보였고, 테르펜 향기물질 구성비율은 역순 으로 높았다. ‘Liparfum’의 안토시아닌은 향기물질 2-phenylethanol (r=-0.51), 3,5-dimethoxytoluene(r=-0.72**), eugenol(r=-0.58*),neral(r=-0.48), geranial(r=-0.42)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카로티노이드는 명확한 상관성을 갖지 않았다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lower color and scent,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floral pigments and scent compounds in garden roses during floral bud development. Three garden rose cultivars with distinct traits for the color and scent of flowers were used as plant materials. ‘Faustinia’ has yellow petals and tea-type scent, ‘Liparfum’ shows pink flowers and sweet-scented, and ‘Tchaikovsky Meichibon’ blooms white flowers with little scent. Floral bud stages were divided into five levels, S1 to S5. In three cultivars, the morphological traits, such as the size of the flower and petals and fresh weight of petals, had increased during flowering at S1 to S4. The flowers of ‘Faustinia’ and ‘Liparfum’ became clear and bright at S1 to S3 and then lost their color with reducing the a* or b* values in petals at S3 to S5. Scent intensity of flowers in three cultivars was the strongest at S3 to S4, then decreased at S5. Total carotenoids in ‘Faustinia’ and total anthocyanins in ‘Liparfum’ showed an increase of 7.2 - 40.5 times at S3 than ones at S1 and then significantly decreased by about 30.6% at S5. In white flower ‘Tchaikovsky Meichibon’, the content of floral pigments remained similar level during flowering and then decreased by 2.3 times at S5. The content of scent compounds also showed similar change patterns to ones of pigments. All cultivars contained the most 2-phenylethanol and 3,5-dimethoxytholuene with ‘Liparfum’ (89.6%), ‘Faustinia’ (84.2%), and ‘Tchaikovsky Meichibon’ (94.8%) in descending order with higher terpene composition. Anthocyanin in ‘Liparfum’ correlated negatively with scent compounds, 2-phenylethanol (r = -0.51), 3,5-dimethoxytoluene (r = -0.72**), eugenol (r = -0.58*), neral (r = -0.48), and geranial (r = -0.42), but carotenoid had no clear correlation.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및 개화 단계
    화기 형태적 특성
    화색소
    향기물질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개화 단계별 특성 변화
    개화 과정 중 화색소와 향기물질의 변화
    화색소와 향기물질의 상관관계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Yeong Chan Shin(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신영찬
  • Je Yeon Hwang(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황제연
  • Je Yeon Yeon(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연제연
  • Wan Soon Kim(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김완순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