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唐代 邢窯 자기에 보이는 서역의 영향과 특징 KCI 등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estern factors and characteristics in the Tang Dynasty Xingwa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3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당대(唐代)는 고대 중국 사회 발전의 전성기로 대외교류가 매우 활발하였고 도자기도 빠 른 속도로 발전한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요장들이 각지에 널리 퍼졌으며 생산 규모 가 방대하고 그 기술 수준 또한 높았다. 그 중 가장 저명한 요장은 남방의 청자를 대표하는 월주요(越州窯)와 북방의 백자를 대표하는 형요(邢窯)였다. 형요는 남북조(南北朝)시기에 개요한 후 초기에는 청자가 주를 이루다가 북조 후기 중국에서 백자를 가장 먼저 생산하였 다. 그 후 수대(隋代)에 빠른 속도의 발전을 거쳐 당대에 가장 성행하여 중국 백자 생산의 중심이 되었으며 만당(晩唐)시기에 대규모의 홍수와 전란으로 요업이 쇠퇴하여 오대(五代) 시기에 요업이 정지되었다. 당대는 형요 역사상 가장 번성한 시기로 청자가 주도하던 발전 방향을 변화시켜 “남청북 백(南青北白)”의 국면을 맞을 만큼 자기의 수준이 정점에 이르렀다. 이 시기 형요는 중앙아 시아를 통한 서역과의 대외교류를 통해 유입된 문물들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조형의 기물들 을 생산함으로써 당대의 국제성과 개방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국적인 기형들의 기원은 그 계통에 따라 로마-비잔틴, 사산, 소그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유입 경로나 발전과정에서 문화 요소들이 융합되면서 양식 변천을 보이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1950년대부터 형요 자기가 각지에서 출토되고 80년대 이후 발굴이 진행되면 서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한국에서는 형요 백자가 월주요 청자와 비교되거나 함께 사용되었던 간략한 사례 정도로 다루어져 왔을 뿐 형요 자기 자체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요 역사상 가장 번성한 시기인 당대에 주목하여 형요 자기에 보 이는 서역의 영향과 특징에 집중하였으며 경제, 문화, 무역이 번영하였던 당대가 가지는 개 방성과 국제성을 형요 자기를 통해 전달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Tang Dynasty is the heyday of ancient Chinese social development when economy prospered and active foreign exchanges took place and it was also a time when ceramic industry made rapid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facilities for producing porcelain were springing up everywhere and quantity and quality of production were immense and advanced. The most famous facilities for producing porcelain were Yue kiln representing the celadon of the southern region and Xing kiln representing the white porcelain of the northern region. Xingware was mainly comprised of celadon in the initial stage after it began to be manufactured from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y. However, in the late Northern Dynasty, white porcelain began to be produced for the first time. Afterwards, after undergoing rapid development in the Sui Dynasty, Xingware dominated the Tang Dynasty and became the center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in China. When the ceramic industry degraded due to largescale flood and war in the late Tang Dynasty, the industry ultimately came to a close in the period of Five Dynasties period. The Tang Dynasty was the period when Xingware was the most prosperous and the level of Xingware was at its climax and new chapter of Chinese porcelain development began at a time when development direction led by celadon transformed into the phase of “Southern Region is celadon and Northern Region is white porcelain”. Furthermore, the Tang Dynasty Xingware gave rise to unique sculptures after being influenced by culture from active exchanges with the Western countries through Central Asia and displayed internationality and openness of the Tang Dynasty. The origins of works produced after the influence of Western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ogdiana, Sasanian Persia and Byzantium based on their descent and changes in style occurred after cultural factors united in influx channel or development process. In China, the studies on Xingware began from a basic level after they began to be excavated from everywhere from the 1950s and comprehensive studies began to be conducted through excavated Xingware from the 1980s. However, Xingware have been treated as simple cases being compared with celadon of Yue kiln or being used along with Yue kiln and not a single comprehensive study on Xingware has been conducted until now. Thus, this study began to accurately look into detailed aspects of the Tang Dynasty Xingware. In particular, Western sculptures and exported Xingware reflect the Tang Dynasty’s global and open na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understood unique form and decorating style influenced by Western factors after analyzing their origin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당대 서역문물의 유입 배경
Ⅲ. 당대 형요 자기에서 보이는 서역적 요소
1. 로마-비잔틴 계통
2. 사산 계통
3. 소그드 계통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신현진(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 Shin, Hyeon-Jin (Duksung Women's University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