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소기업 경영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 에니어그램 배형 중심으로 KCI 등재

A Subjectivity Study on Leadership Types Perceived by SME Managers: The Enneagram Belly Ty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1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배형의 중소기업 경영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과 특 성을 파악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주관적인 의미를 측정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인터뷰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200개의 Q모집단을 구성한 다음 40개의 진술문으로 Q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P샘플은 중소 기업 경영자 중 에니어그램 배형 23명을 선정하여 Q분류 과정을 통해 나온 자 료를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성분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형 1은 ‘팔로워의 성장을 돕는 비전제시형’ 유형 2는 ‘팔로워에 대한 책임감이 강한 외강내유형’ , 유형 3은 ‘일보다 사람이 우선인 팔로워중심형’, 유형 4는 ‘팔 로워에게 모범이 되는 자기관리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에니어그램 배형의 중소기업 경영자가 인식하는 리더십을 유형별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형별 특성을 통해서 에니어그램 배형 중소기업 경영자의 특성을 이 해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uses Q methodology to measure scientifically subjective mean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hip types and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managers of the Enneagram type. After constructing 200 Q population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40 statements were selected as Q samples. For the P sample used in the study, 23 Enneagram type managers were selected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Q classification process were analyzed for principal component factors using the QUAN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ype1 is the ‘Vision presentation type that helps the growth of followers’. Type2 is the ‘Out-of-course type with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for followers’. Type3 is the ‘Follower-centered type that puts people first’. Type4 is ‘Self-management that sets an example for follow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ME managers with Enneagram Belly Typ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growth and business performance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ir personalities and demonstrating better leadership through self-examin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Q 방법론
    2. Q 모집단
    3. Q 표본
    4. P 표본
    5. Q 분류
Ⅲ. 연구결과
    1. 결과분석
    2. 인식유형 특성
    3. 일치항목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정윤(동국대학교 상담코칭학과 석사과정) | Lee Jeong Yun (Master’s Student, Dept. of Counseling & Coaching, Dongguk University)
  • 이송이(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 | Lee Song Yi (Assistant Professor, Dharma College,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