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멸종위기종 팔색조 전국 번식울음 분포 및 생물계절 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Nationwide Song Distribution and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iry Pitta Pitta Nympha, an Endangered Spec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1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팔색조 번식울음을 탐지하고 생물계절 특징을 파악하여 팔색조 서식지 보호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36개소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12월이며, 분석 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36개소의 연구대상지에서 팔색조 번식울음이 탐지된 곳은 22개소 였다. 번식울음 빈도 분석 결과 높은 빈도를 나타낸 지역은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내륙이었고, 위도가 제일 높은 지역은 설악산국립공원이었다. 두 번째, 팔색조 번식울음 초성은 2019년 5월 14일에 한려해상국립공원 금산에서 나타났고, 종성은 2019년 8월 6일에 고창 운곡습지에서 나타났다. 세 번째, 번식울음 일주기 분석 결과 05시에 울음 빈도수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06시에 피크를 나타낸 뒤, 다시 줄어드는 패턴이 나타났다. 네 번째, 번식울음 계절주기 분석 결과 2019년 5월 14일부터 8월 6일까지 나타났고, 번식울음 누적빈도가 가장 높은 날은 6월 3일(Julian date: 154)이었다. 번식울음이 탐지된 날의 평균 기온은 17.4℃, 평균 강수량은 0.02mm, 평균 습도는 82.6%이었다. 다섯 번째, 팔색조 번식울음과 기상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번식울음과 기온과의 관계가 음의 상관관계(p<0.001)를 나타내었고, 강수량(p=0.053), 습도(p=0.077)는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지 않았다(df=471).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팔색조의 번식울음 분포를 확인하고, 울음기간,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하 여 생태적 특성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epare basic data for protecting the habitat of Fairy Pitta Pitta nympha and coping with climate change by detecting songs with bio-acoustic recording technology and identifying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protected areas in Korea. The study sites were 36 protected areas nationwid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9, and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May 1 to August 31, 2019. The main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ly, songs were detected in 22 out of 36 study sites.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songs show that high frequency was observed in southern inland, including Jeju island, and the area with the highest latitude was Seoraksan National Park. Secondly, the first song was observ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Geumsan on May 14, 2019, and the last song was observed in Ungok wetland in Gochang on August 6, 2019. Thirdly, circadian rhythm analysis results of songs show that the frequency rapidly increased at five o’clock in the morning, peaked at six o’clock, and then decreased afterward. Fourthly, seasonal cycle analysis results of songs show that they were observed from May 14, 2019 to August 6, and the day with the highest accumulated frequency of songs was June 3, 2019 (Julian date: 154).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day the songs were detected was 17.4℃, the average precipitation was 0.02㎜, and the average humidity was 82.6%. Fifthly, a correlation analysis result between Fairy Pitta’s songs and meteorological factors shows that temperature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iry Pitta’s songs (p<0.001), but precipitation (p=0.053) and humidity (p=0.077) did not indicate a statistical significance (df=471).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s songs using bio-acoustic recording technology in protected areas nationwide and identifie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precise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g period and meteorological factor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분석
결과 및 고찰
    1. 팔색조 번식울음 분포 특성
    2. 번식울음 계절주기 특성
    3. 팔색조 번식울음 일주기 특성
    4. 팔색조 번식울음과 기상요인과의 관계
    5. 고찰
REFERENCES
저자
  • 최세준(상지대학교 대학원 응용식물과학과 원예조경학전공 석사과정) | Se-Jun Choi (Dept. of Applied Plant Science, Graduate School of Sangji Univ., 83 Sangjidae-gil Wonju-si Gangwon-do 26339, Korea)
  • 기경석(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부교수) | Kyong-Seok Ki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Landscape Architecture, Sangji Univ., 83 Sangjidae-gil Wonju-si Gangwon-do 2633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