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ow to Protect and Support ‘Essential Workers’ in the Pandemic Era : Focusing on Long-term Care Workers KCI 등재

팬데믹 시대, ‘필수노동자’ 보호 및 지원을 위한 연구 : 장기요양 돌봄노동자를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0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인한 돌봄 위기 속에 돌봄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돌봄 영역의 필수노동자인 장기요양 돌봄노동자에 주목하고 있다. 팬데믹 시대, 장기요양 돌봄노동자의 노동실태는 어떠한지, 문제 해 결을 위한 근본적인 과제는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이 논문은 크게 5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장기요양 돌봄노동의 현황과 실태를 통해 일반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코로나19 이전의 장기요양 돌봄노 동의 주요 이슈(예컨대 열악한 노동조건, 근골격계 질환 및 감정소진, 성희롱 문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후에 진행된 실태조사 자료들을 바탕으로 장기요양 돌봄노동에 관한 주요 이슈를 3가지 범주로 재구조화하였다. 코로나19로 장기요양 돌봄노동자들은 더욱 심화된 불안정 노동, 안전하지 못한 노동, 그리고 추가업무 및 활동 통제에 의한 과중한 노동 등에 시달리고 있다. 넷째, 팬데믹 이후 돌봄 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움직임을 살펴보고 실천현장의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돌봄 영 역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하여 돌봄의 가치를 존중하는 사회, 돌봄노동자를 돌보는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long-term care workers who are essential in the field of care. They have been actively operating at the forefront of care amid the care crisis caused by the pandemic. Given that it is the era of pandemic, we tried to discuss what working conditions long-term care workers are under and what are fundamental tasks to solve related problems. The discussion is subdivided into five sections. First, the general status of long-term care work was examined by looking at their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Second, poor working conditions, musculoskeletal disorders, emotional exhaustion, and sexual harassment were summarized as major issues of long-term care work before Covid-19. Third, the major issues related to long-term care work were re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fact-finding data collect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Due to the Covid-19 pandemic, long-term care workers are found to be working under poor conditions, some of which are intensified, unstable work, unsafe work, and heavy work due to additional work and activity control. Fourth, policy movements to support care workers after the pandemic and cases of practice are summarized. Finally,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in the field of care, the study suggested that a transition to a society that respects the value of care and a society that cares for care workers is necessary.

목차
ABSTRACT
Ⅰ. 들어가며 : 코로나 팬데믹과 필수노동
Ⅱ. 한국 장기요양 돌봄노동의 현황과 실태
    1. 장기요양현장 및 종사자 현황
    2. 장기요양 돌봄노동자의 노동실태
Ⅲ. 코로나19 이전 장기요양 돌봄노동의 주요 이슈
    1. 열악한 노동조건과 처우실태
    2. 근골격계 질환과 감정 소진
    3. 성희롱 문제
Ⅳ. 코로나 팬데믹 이후 장기요양 돌봄노동의 주요 이슈
    1. 더욱 심화된 불안정 노동
    2. 안전하지 못한 노동
    3. 추가업무 및 활동 통제로 인한 과중한 노동
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장기요양 돌봄노동자 지원 현황
    1. 공공부문의 사례
    2.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의 사례 : 서울시 어르신돌봄종사자 종합지원센터
Ⅵ. 장기요양 돌봄노동자 보호 및 지원을 위한 근본 과제
    1. 돌봄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로
    2. 돌봄노동자를 돌보는 사회로
Ⅶ.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
  • Park, Ji-sun(우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 박지선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