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이론 중에 용신이론(用神理論)은 몸의 정신에 비유할 정도로 운 명을 추론(推論)하기 위한 가장 핵심이론이다. 용신(用神)은 일간(日干)의 역량 을 저울질하여 음양의 균형을 맞추고 오행의 구성과 조화를 기준으로 구(求) 한다. 이러한 용신(用神)의 종류와 취용법은 다양하다. 대표적 사주명리서 중에서 滴天髓는 중화사상을 근본으로 억부, 통관, 조 후, 병약용신을 취용하며, 또한 강한 기세를 따르는 종화론(從化論)을 원칙으 로 취한다. 子平眞詮은 격국에서 취하는 격국용신을 쓰며 순용용신과 역용 용신을 취한다. 窮通寶鑑은 십간을 12월에 배치하여 주용신과 보좌용신을 두며, 전체적으로 조후용신을 기반으로 하지만, 오행의 기능적 용신(用神)역할 이 스며들어 있다.窮通寶鑑 <희용제요>와 본문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15개 부분 중 가을 甲木과 1월 庚金의 용신을 계절의 관점과 오행의 관점에서 체(體)와 용(用)으로 비교하고, 원문 검증하여 고정(固定)하였다. 비교 검토한 결과 窮通寶鑑은 조 후론을 기반으로 표현하지만, 철저한 오행의 상호기능적 관점이다. 계절의 관점 으로 본다면 가을의 甲木은 추수하는 계절에 결실이 목적이니 庚金을 우선한 다. 그러나 용신의 기능적 관점으로 보면 甲木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丁火를 주용신으로 취하여 예리하게 제련된 庚金으로 수삭(修削)해야 한다. 窮通寶鑑의 용신(用神)은 오행의 역할에 따라 용신(用神)을 구(求)하고 그 용신(用神)은 세트로 짝을 지어 기능적 작용을 한다. 전체의 균형과 안정을 위 하여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상호의존적으로 수행하는 파슨스의 구조기능론과 부합된다. 즉, 甲木이 丁火로 인화(引火)하고, 인화(引火)된 丁火가 庚金을 제 련하고 제련된 庚金이 甲木을 벽갑(劈甲)하여 결실을 얻는다. 木生火, 火剋金, 金剋木의 생극제화 과정이다. 丁⋅庚⋅甲이 세트로 짝을 지어 임무를 수행하 는 상호기능적 관점의 용신(用神)특징을 갖고 있다.
Among the Saju-myeongli, the Yongsin Theory(用神理論) is the most important theory to infer fate to the extent that it is likened to the mind of the body. Yongsin measures the capabilities of ‘Ilgan(日干)’, balances Yin-Yang, and practices based on the composition and harmony of the Five Elements. There are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use of these Yongshin(用神) Among the representative Saju-myeongli books, 'Jeokcheonsu(滴天髓)' uses the Chinese ideology as the basis like ukbu, Tong-Goan, Jo-hoo, and Byung-yak-yong-shin. In principle, It takes the doctrine of Jong-Hwa(從化論) that follows strong momentum. 'Japyeongjinjeon(子平眞詮)' choose Guekgukyongsin that is taken Guekguk. It takes the order yong-shin and the reverse yong-shin. 'Gungtongbogam(窮通寶鑑)' is arranged Shipgan(十干) to 12 months and having a main Yongshin(用神) and assistance Yongshin(用神). Overall, it is based on Cho Hoo Yong-shin, but the functional role of the five elements is permeated. Among the 15 parts that do not match the contents of the text with'Gungtongbogam(窮通寶鑑)' <Huiyongjeyo희용제요> autumn gap mok (甲木) and January kyong gum(庚金)‘s yong-shin were compared Che(體)와 Yong(用) with the perspective of the season and five elements, and the original text was verified and fix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review, 'Gungtongbogam(窮通寶鑑)' is expressed based on Jo Hu-ron, but it is a structural and functional perspective of thorough O-hang(五行).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ason, autumn's gap mok(甲木) is aimed at fruit in the harvest season, so kyong gum(庚金) takes precedence. However, from the functional point of view of the O-hang(五行),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jeung wha(丁火) as the main yong-shin in order to protect 甲 木and needs to be cut out with kyong gum(庚金). Yongshin(用神) of 'Gungtongbogam(窮寶鑑鑑) is looking for Yongshin(用神)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O-hang(五行) and Yongshin(用神) is paired in a set to function. It is consistent with Parsons' structural functional theory, which performs each function necessary for overall balance and stability interdependent. In other words, the gap mok(甲木) is ignited with jeung wha(丁火), and the ignited jeung wha(丁火) is smelteed by the kyong gum(庚金), and the smelted kyong gum(庚金) splits gap mok(甲木) and pays off. It is a process of biotranspiration of mok sang wha(木生火), wha kuk gum(火剋金), gum kuk mok(金剋木). jeung(丁)⋅kyong(庚)⋅gap(甲) has the characteristics of Yongshin (用神) from a structural functional viewpoint in which play a role in p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