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eterophoria Examination in Virtual Space Using a Stereoscope KCI 등재

입체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사위검사의 효용성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1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입체경으로 구현된 가상공간에서 측정한 사위검사를 하웰 시표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 검사와 비교하여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체 대상자는 51명(20~39세)으로 전신질환, 안질환, 억제가 없고, 입체시가 40 sec 이상, 나안 또는 교정시력이 양안 1.0 이상인 사람을 선정하였다. 입체경의 광학렌즈 굴절력은 +3.00 D, +5.00 D, +10.00 D이 고, 광학중심점 간 거리는 62.00 mm이었다. 하웰 시표를 기반으로, 기존과 입체경용 사위도 검사 시표를 제작하 였으며, 검사거리 500.00 cm, 40.00 cm, 33.00 cm에 대해 수평과 수직사위도 검사를 무작위로 수행하였으며, 계산 조절성폭주비를 구하였다.
결과 : 검사거리 500.00 cm, 40.00 cm 및 33.00 cm에서 측정한 기존, +3.00 D, +5.00 D, +10.00 D 입체경 에서 수평사위(△)는 각각 -1.18±1.71, +2.39±3.46, +2.23±3.36, +2.36±3.31(500.00 cm), -3.88±4.17, -4.92±5.92, -4.98±5.70, -4.91±5.58(40.00 cm), 및 -5.53±4.82, -6.50±6.67, -6.49±6.59, -6.38±6.54 (33.00 cm), 수직사위(△)는 각각 -0.03±0.97, -0.03±0.99, -0.03±0.87, +0.02±1.00(500.00 cm), 0.00±0.92, -0.05±1.00, -0.09±1.01, -0.02±1.02(40.00 cm), 및 -0.05±0.99, -0.01±1.00, -0.11±1.02, -0.05±0.99(33.00 cm)로 나타났다. 입체경의 원거리 수평사위에서 더 내사위, 근거리는 더 외사위 방향으로 나 타났으며, 원거리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0), 수직사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계 산 조절성폭주비(△/D)는 각각 5.18±1.24, 3.34±1.45, 3.38±1.37, 3.36±1.35(40.00 cm), 및 4.81±1.22, 3.30±1.41, 3.36±1.41, 3.35±1.38(33.00 cm)이었으며. 입체경에서 더 낮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0).
결론 : 입체경을 이용한 사위도 검사는 구현된 가상공간에 대한 거리감 인지가 실제공간과 다르기 때문에 원거 리 과폭주, 근거리 저폭주의 영향이 발생되었다. 실제공간과 유사한 수준을 가지기 위해서는, 거리감 인지를 증가 를 위한 주변부 가상공간에 경험적 단서를 추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Purpose :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horia examination in a virtual space with a stereoscop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the Howell card.
Methods : 51 subjects (20~39 years old) were selected and has no general disease, ocular disease or suppression. Also, stereopsis of the 40 sec or more, and unaided or corrected visual acuity of 1.0 or more with both eyes. The refractive power of the stereoscopic lens was +3.00, +5.00 and +10.00 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centers was 62.00 mm. Based on the Howell card, a phoria examination target for conventional and stereoscope was produced. The measurements of lateral and vertical phoria by the conventional and stereoscope were randomly performed at the working distances of 5 m, 40 cm, and 33 cm. Also, the calculated AC/A ratios were obtained.
Results : The lateral phoria (△) measured at 5 m, 40 cm, and 33 cm working distance by the conventional, +3.00, +5.00, and +10.00 D stereoscope was -1.18±1.71, +2.39±3.46, +2.23±3.36, +2.36±3.31 (5 m), -3.88±4.17, -4.92±5.92, -4.98±5.70, -4.91±5.58 (40 cm), and -5.53±4.82, -6.50±6.67, -6.49±6.59, -6.38±6.54 (33 cm), respectively. The vertical phoria (△) was -0.03±0.97, -0.03±0.99, -0.03±0.87, +0.02±1.00 (5 m), 0.00±0.92, -0.05±1.00, -0.09±1.01, -0.02±1.02 (40 cm), and -0.05±0.99, -0.01±1.00, -0.11±1.02, -0.05±0.99 (33 cm), respectively. The calculated AC/A ratios (Δ/D) were 5.18±1.24, 3.34±1.45, 3.38±1.37, 3.36±1.35 (40 cm), and 4.81±1.22, 3.30±1.41, 3.36±1.41, and 3.35±1.38 (33 cm), respectively.
Conclusion : In the phoria examination using a stereoscope, the depth perception of the implemented virtual space is different from the real space, so the effects of convergence excess at distance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occurred at near. In order to have a similar level to the real space, it is necessary to add the experimental clues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distance with the peripheral virtual spac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입체경의 설계
    2. 시표 제작
    3. 임상평가
    4. 통계분석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기존 및 입체경 검사 간 비교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Tae-Young Park(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성남) | 박태형
  • Hang-Seok Lee(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성남) | 이항석
  • Bon-Yeop Koo(신성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당진) | 구본엽
  • Ki-Choong Mah(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 마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