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oh's imaginary and Real Problems Seen through 『Dono Ipdoyomunron』
대승불교에 돈오가 경전을 통하여 최초등장한 시기는 대당 신룡 원년 (705) 반라밀제가 한역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이다. 그러나 『경전전등록』에 의하면 이보다 약300년 앞서 위진 시기 도 생에 의해 돈오가 주창되었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돈오에 대한 주장이 역사적으로는 어떠한 준거들을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는지 찾아서 재조명해 보았다. 그리고 달마에서 육 조에 이르기까지 중국선종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또한 선불교의 핵심으 로 자리 잡게 된 돈오사상을 대주혜해의 『돈오입도요문론』을 중심으로 전승과정의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돈오입도요문론』에는 최초 역주되거나 주장된 돈오의 본질 적인 의미는 사라지고 수행법의 한 형태인 것처럼 왜곡되어 전승되고 있 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최초의 번역이 이루어졌던 초기에 돈오의 의 미는 수행 중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현상을 표현하였던 것이었다. 예컨대 본고에서 이론적 근거로 삼고 있는 구차제정이나 칠각지의 기록유산에 따르면 “깨달음은 순간이며 희열을 동반한다”라고 전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어 사전의 기록을 보면 “돈오(頓悟:dùnwù)”를 “불교의 참뜻을 문득 깨닫다”로 표기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능엄경』과 『대승본생심지관경』과 『대승이취육바라밀 다경』 등에서도 그 준거를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적 흐름이 경료되면서 이러한 돈오 본연의 의미가 변형되 어 수행법의 한 형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조 아래서 성립된 혜해선사의 『돈오입도요문론』은 결국 허상 과 실상이라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고 보인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는 돈오를 수행기전으로 삼고 있는 수행자들에게 그 돈오의 본질을 다시금 뒤돌아보게 할 것이다. 또 붓다의 올바른 가르 침을 실천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In Mahayana Buddhism, Donoh first appeared through the scriptures in the first year of the great dynasty, Shinryong (705), according to the Korean translation of 『Daebuljeong yoraemilin sujeungyoui jebosalmanhaeng suneongeom sutra』. However, according to 『Gyeongjeonjeondeungrok』, it is said that Dono was advocated by Tosaeng during the Weijin period about 300 years earlier.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and re-examine the historical evidence that these claims about Dono are accepted as facts. And we looked at the flow of Chinese Zen Buddhist history from Dharma to the Six Dynasties. In addition, it was studied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i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Dono Thought, which has become the core of Zen Buddhism, centering on Dae Joo Hye-hae's 『Dono Ipdoyomunr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Dono Ipdoyomunron』, the essential meaning of Dono, which was originally translated or claimed, disappeared, and was distorted and transmitted as if it were a form of meditation practice. In other words, in the early days of the first translation, the meaning of Dono was to express the phenomenon of enlightenment that appeared during medita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heritage of Guchajeong or Chilgakji, which is used as a theoretical basis in this paper, it is said that “enlightenment is instantaneous and accompanied by joy”. In fact, if you look at the records of the Chinese dictionary, “Dono” (頓 悟:dùnwù), compiled by the Chinese Dictionary Compilation Room of the Institute of Ancient National Culture (2002), 『Modern Chinese-Korean Dictionary』, Seoul: 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National Culture. 403. It can be seen that is marked as “suddenly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Buddhism”. These facts can also be found in 『Nungeom Sutra』, 『Daeseung Bonsaengsimjigwan Sutra』, 『Daesung Yichyuyuk Paramilda Sutra』. However, as time pas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Dono was transformed and established as a form of meditation practice. Seon Hye Hae's 『Donoipdoyomunron』, established under this principle, seems to have two sides: an illusion and a reality. Therefore, the study of this paper will make the meditators who use Dono as a method of training to look back on the essence of Dono. It is also seen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actice the correct teachings of the Budd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