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로나19 상황의 지속과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 어머니의 교육지원 경험 KCI 등재

Educational Support Experiences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Low Graders During the Continuing COVID-19 Pandemic Situ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4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교육지원 경험 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처음 학교생활을 시작하는 자녀들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어려움, 나름대로의 대응방안, 향후 교육 현장에 대한 기대 등은 무 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 2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7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현상학적 접근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범주화하였다. 우선, 코로나19 시작과 함께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온라인 원격학습 지원의 어려움, 자녀 돌봄 공백 발 생, 등교 수업 시작으로 초기 학교 적응의 어려움, 교우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그에 대한 지원, 불안정한 일상으로 인한 양육자의 스트레스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자녀 교육지원을 위한 대응으로는 우선 변화된 등교 방식에 따르기, 온라인 수업 참여에 적응하기, 가정 내에서의 돌봄 모 색을 위한 직장 그만두기 등을 선택하였다. 보다 현실적 대응으로는 방역 수칙 준수에 대한 교육과 실천 을 장조하고 있었다. 끝으로 코로나19가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어머니들은 교사에 대해서는 가 정과의 소통 및 자녀 학습을 위한 조력자의 역할을 기대하였고, 학교에 대해서는 소규모로 운영되는 등교 수업을 원하였으며, 정부 및 관련 기관에 대해서는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돌봄 지원 시 스템 마련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교육 현장에서의 대응 방안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 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ducational support experiences of mothers raising low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took a closer look at the mothers􍾨 difficulties while they were supporting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ir own coping strategies and expectations from related educational fields. For this, 7 mothers having first or second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and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with three themes. First of all, when COVID-19 pandemic broke out, mot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cluding support for online class participation, lack of child care support system, adjustment of unstable school attendance, friend relationships and stress from unsafe daily routines. Next, under the continuing COVID-19 situation, coping strategies for the mothers􍾨 educational supports were adjusting the changing school attendance patterns, improved online class participation, and quitting jobs for care-giving their children, More realistic coping method adopted by the mothers was emphasizing rules and practices of disease prevention. Finally, mothers have expectations for teachers more communication with each family and role of helper developing each child􍾨s voluntary study habits. They also have expectations for school open even during the pandemic period maintaining class size small and for the government and related public sectors preparing systemic schooling and after school cares which can operate well even during the risky pandemic situation.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in the educational field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로나19 지속과 교육 현장
    2.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 저학년 자녀 어머니의 교육지원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코로나19 시작과 자녀교육지원의 어려움
    2. 코로나19 지속과 자녀 교육지원 대응
    3. 코로나19 지속 상황에서 교육 현장에 대한 기대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미옥(공주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 Mi-Ok Choi
  • 김혜원(공주교대 교육대학원 교수) | Hye-won Kim
  • 조혜영(공주교대 교육대학원 교수) | Hye-young J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