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맥의 사초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기의 영향 KCI 등재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Spring O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0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가을철 봄 연맥의 생산을 위해 파종량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사초용 연맥 (Avena sativa L.)의 사초특성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 8월 15일부터 10월 24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은 ha당 150, 200 및 25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월/일) 인 8/15, 8/22, 8/29, 9/5를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함량(DM%)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9월 5일 파종기(24.8%)를 제외한 다른 파종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8월15일 파종시는 23.0%, 22일은 21.5%, 29일은 20.5%가 됐다. 연맥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15.6%에서 27.9%로 유의적으로(P<0.01) 증가됐다. 연맥의 조단백질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ADF 및 NDF 함량은 파종시기가 빠른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파종량이 많고 파종시기가 늦은 것이 높게 나타났다(P<0.01). Ha당 평균건물 수량은 2,647kg에서 615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간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연맥의 평균 건물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 평균 조단백질 수량은 ha당 171kg에서 410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파종량에 있어서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따라서 연맥의 평균 조단백질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In vitro 가소화 건물(IVDDM)수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사초용 연맥의 수량 증수 및 사료가치의 향상을 위해 파종량은 ha당 200kg, 파종시기는 8월29일 이전이라고 생각된다.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is important for production of spring oats during the fall season.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spring oats(Avena sativa L.) at Suweon in 1997.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 plots consisted of different seeding rates such as 150, 200, and 250kg/ha. The subplots consisted of different planting dates of spring oats such as 15, 22, and 29 August and 5 September. Dry matter content of oa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1) as the planting date was delayed except the planting date of 5 September(24.8%). Dry matter content of forage oats planted on 15, 22, and 29 August was 23.0, 21.5, and 20.5%, respectively. A seeding r a t e × p l a n t i n g date interaction for dry matter content was highly significant(P<0.01). Crude protein content of oa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1) from 15.6 to 27.9% as the planting was delayed, while a significant seeding r a t e × p l a n t i n g date interaction for crude protein content of oats was observed. Acid detergent fiber(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NDF) contents of oats increased with early planting(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eeding rates. l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of oa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1) as the seeding rate was increased together with late planting. Average dry matter yield of oats decreased(P<0.01) from 2,647 to 615kg/ha as the planting was delay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eeding rates. A seeding r a t e × p l a n t i n g date interaction was observed for average dry matter yield of oats that the seeding rate increase in this experiment showed better at early planting dates. Crude protein yield of oats increased from 171 to 410kg/ha as the planting was delayed, and a significant increases(P<0.01) for crude protein yield was found among the seeding rates. ln vitro digestible dry matter(IVDDM) yield of oats decreased(P<0.01) as the planting was delay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eeding rates. A significant seeding r a t e × p l a n t i n g date interaction for lVDDM of oats was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the seeding rate of 200kg/ha and early planting before 29 August would be recommendable for forage yield and quality of oats in Korea.

목차
Abstract
Ⅰ .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건물 함량
    2. 연맥의 품질
    3. 연맥의 수량
Ⅳ. 적 요
V. 인 용 문헌
저자
  • 김수곤(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S G Kim (College of Agric. & Life Sci. SNU)
  • 김종덕(연암축산원예대학) | J D Kim (Yonam College of Agric)
  • 박형수(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H S Pak (College of Agric. & Life Sci. SNU)
  • 김동암(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D A Kim (College of Agric. & Life Sci. 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