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yoga of samādhi achievement through pratyāhāra·dhāraṇā practice: Focusing on the content o Yogayājñavalkya
인도의 요가 철학에서 삼매 성취는 자아실현의 결과로 최종목표인 해탈(mukti, mokṣa) 로 가는 길이기도 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 실천법으로『요가경(Yogasūtra)』에서는 ‘8가지 요가 수행법’(aṣṭāṅga-yoga)이 제시되었다. 이 8가지 요가 수행법은 수행자들에 의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사상적 변화가 일어난다. 이 변화가 나타난 문헌 중 하나가『요가야갸발꺄 (Yogayājñavalkya)』이다. 『요가야갸발꺄』는 아드바이따 베단따('dvaita-)edāndta)와 하타 요가 관점에서 8가지 요가 수행법을 해석한다. 이에 따라『요가야갸발꺄』7.1은 금계-권계- 좌법-호흡조절을 외적 수단으로, 감관철회-정신집중-명상-삼매를 내적 수단으로 구분한다. 내적 수단 가운데 감관철회와 정신집중은 정신적 수행법과 하타 요가 기법을 포함한 수행 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요가야갸발꺄』에서는 독특한 기법으로 18개의 생명점(marm a-sthāna)을 명상대상으로 하는 감관철회와 5조대요소(pañca maha/hūta)에 대한 정신집중 이 서술된다. 이 수행법은 호흡조절 기법을 포함한 것으로 이를 통해 삼매가 성취된다
In India's yoga philosophy, samādhi achievement is also the way to liberation(mukti, mokṣa), the final goal as a result of self-realization. As a specific practice method for this, ‘aṣṭāṅga-yog a’ were suggested in Yogasūtra. These eight yoga practices change as they continue to be carrie d out by performers. One of the documents in which this change occurred is Yogayājñavalkya. Yogayājñavalkya interprets aṣṭāṅga-yoga practices from the perspective of Advaita-Vedāndta and Haṭha Yoga.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Yogayājñavalkya 7.1 is classified yama-niyama-āsan a-prāṇāyāma as an external means and pratyāhāra-dhāraṇā-dhyāna-samādhi as an internal means. Among the internal means, pratyāhāra and dhāraṇā describe in detail how to perform, including mental performance and Haṭhayoga techniques. In Yogayājñavalkya pratyāhāra and dhāraṇā, praty āhārathe with 18marma-sthāna as a meditation object, and dhāraṇā on 5mahabhūta are described as unique techniques. This method of performance includes prāṇāyāma, which are achieved throu gh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