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활권 가로수를 기주로 하는 나비목 곤충의 발생양상 KCI 등재

Occurrence of Lepidopteran Insects in Urban Fore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2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주요 생활권 수목인 벚나무류, 단풍나무류, 느티나무, 철쭉류, 무궁화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해 당 수종별 나비목 곤충의 발생 양상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하였고, 2020년 곤충의 발생 시기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확인된 곤충으로는 벚나무류에서 14과 76종, 단풍나무류에서 8과 40종, 느티나무에서 10과 43종, 철쭉류에서 7과 28종, 무궁화에서 4과 10종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중 미국흰불나방은 느티나무를 제외한 모든 수목에서, 매미나방은 무궁화를 제외한 모든 수목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발생밀도 조사 결과, 왕벚나무는 미국흰불나방, 갈색뿔나방이 많았으며, 느티나무는 느릅애기잎말이나방이, 무궁화는 점노랑들명나방의 발생이 가장 많았 다. 미국흰불나방과 매미나방은 경남지역보다 경기지역에서 밀도가 높게 조사되어 지역별로 방제 전략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왕벚나 무는 확인된 나비목 곤충 종수가 가장 많고, 광식성인 종이 많아 주의가 필요한 반면, 단풍나무는 나비목 곤충 피해가 크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생활권 수목은 사람과 근접한 거리에 있어, 생활권 수목의 나비목 해충의 방제를 위해서는 페로몬을 이용하여 발생시기와 발생량을 예찰함으 로써 농약 살포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pest control strategy,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lepidopteran insects in the major trees growing in urban forests from 2019 to 2021. In total, we recorded 76 species of 14 families in Prunus spp., 40 species of eight families in Acer spp., 43 species of 10 families in Zelkova serrata, 28 species of seven families in Rhododendron spp., and 10 species of four families in Hibiscus syriacus. Among these, Hyphantria cunea and Lymantria dispar were recorded from all five tree taxa monitore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species in the different tree groups were as follows: H. cunea and Phalera flavescens in Prunus yedoensis, Epinotia ulmicola in Z. serrata, and Rehimena surusalis in H. syriacus. H. cunea also occurred in Rhododendron spp. and Acer spp., although the numbers were lower than those recorded in Prunus spp. and Z. serrata. Our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lepidopteran insects in Prunus spp. and Z. serrata, whereas the presence of these insects in both Acer spp. and Rhododendron spp. appears to be less problematic. From the perspective of reducing the risks to human health,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pheromones for monitoring lepidopteran species and the use of mating disruptors would be desirable approaches that would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spraying of pesticides in urban forests.

목차
ABSTRACT
초 록
Materials and Methods
    대상 수종
    조사지 현황
    곤충 발생 조사
Results
    수종별 발생곤충과 기주 범위
    수종별 발생 시기 및 밀도
Discussion
사 사
저자 직책 및 역할
Literature Cited
저자
  • 안수정(농업회사법인 이랑㈜) | Soojeong Ahn (Erang Bio-Environment Research System, Haman 51217, Korea)
  • 이수진(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Sujin Lee (Forest Entomology and Path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Korea)
  • 김준헌(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Junheon Kim (Forest Entomology and Path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Korea) Corresponding author
  • 남영우(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Youngwoo Nam (Forest Entomology and Path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Korea)
  • 최성환(경상국립대학교 원예과학부, 경상국립대학교 농식품바이오융복합연구원) | Sunghwan Choi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정종국(강원대학교 산림환경보호학전공) | Jong-Kook Jung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Protec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