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반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말소리 음운 변동 반응 특성 KCI 등재후보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Variabilities from the Speech of General Children and Young Deaf o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말소리 낱말 위치, 조음 방법,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 변동 반응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일반 아동 10명과 청각장애 10명의 아동을 선정하여 아동용 한국어 조음 검사를 실시하여 80%의 전체 자음정확도를 기준으로 자음정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적 음운 변동과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의 출현율을 비교하였고, 두 집단 간 자음정확도에 따른 발달적 음운 변동과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의 차이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음 정확도 비교는 조음 방법 중 마찰음에서 청각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음운 변동 비교에서 일반 아동은 긴장음화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반면 청각장애아동 집단은 긴장음과 대립되는 이완 음화가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집단 간 음운 변동 비교에서 일반 아동 집단이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을 거의 나타내지 않은 반면, 청각장애 아동 집단은 초성 생략, 이완 음화, 성문 음화, 탈 비 음화 등의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이 나타났으며, 청각장애아동 집단에서도 자음정확도가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onant accuracy and phonological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ord position, articulation method, and articulation position of general children and deaf on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normal children and 10 othe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ho were living in G city and conducted Korean language articulation test for childre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standard of 80% consonant accuracy, with which the incidence of phonological variability an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variability was com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sonant accuracy was meangingfully higher i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an in normal children in fricative sounds among articulation methods. In the phonological variance comparison, the general children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tension sound, while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relaxation. In the comparison of group phonemic variation, the general children group showed little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changes, whereas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group showe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fluctuations such as initial abstraction, relaxation sound, vocalization, and non-nasalization. In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group, the frequency of consonant accuracies was significantly higher.

목차
요약
Abstract
Introduction
Research method
    1. 연구대상 및 절차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Results
    1. 낱말 위치 및 자음 유형별 자음 정확도 비교
    2. 두 집단 간 음운 변동 비교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류정미(광주여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 Jung-mi Ryu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Gwangu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