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흡법(Prāṇāyāma)을 통한 심신안정에 대한 고찰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Mind and Body Stability through Breathing(Prāṇāyām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호흡(prāṇa)은 삶의 근원이며 생명이다. 요가에서 호흡법(prāṇāyāma)은 들숨, 날숨, 멈춤 세 유형의 숨을 조절하는 기본적인 원리에서 출발한다. 호흡을 조절함으로써 신체에 있는 통로(naḍī)를 정화하고, 나디가 정화됨에 따라 몸의 불순물이 청결해지면서, 신진대사와 신경계통이 안정되어 몸의 구성요소가 조화로워진다. 그리고 마음까지 평온하게 유지하게 된다. 특히 소리를 동반한 호흡수련은 각성과 동시에 공명에 의한 신경계의 안정으로 심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소리호흡수련은 심신치유의 기제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방법이나 효과, 주의점, 치유방안의 기본사항을 주요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현대 요가의 호흡수련은 요가자세(āsana)와 호흡법(prāṇāyāma)을 중심으로 하는 하타요가를 강조하기 때문에 Yoga Sūtra 를 근간으로 하고, 하타요가의 대표적인 경전 Haṭhayogapradīpika, Gheraṇḍa Saṁhita를 중심으로 하되 소리를 중심으로 한 호흡만 선택하였다. 승리호흡(ujjāyī prāṇāyāma), 냉각호흡(sītalī prāṇāyāma), 풀무호흡(bhastrikā prāṇāyāma), 벌소리호흡(bhrāmarī prāṇāyāma)은 일정한 소리세기로 수련하며, 풀무호흡을 제외하고는 길고 부드럽게 소리내는 것을 주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기관지, 폐기능, 심혈관계에 관련된 몸의 구성요소를 안정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규칙적인 호흡으로 신경계가 안정되고, 기억력이 좋아지며, 심신의 평안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초의식상태인 삼매에까지 다다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소리호흡수련은 적어도 12주 이상 요가전문선생(Yoga master)의 지도에 따라 단계별로 수행하는 것이 좋다. 호흡수련자에 특성에 맞게 단계별로 진행하는데 ⓵수련자의 몸상태 파악 ⓶심신의 질병 유무 및 원인 파악 ⓷조건에 맞는 호흡법 선정하기 ⓸호흡기간, 호흡단계, 시간, 횟수, 장소 등 구체화 ⓹회기 후 문진표와 지속적 관리로써 수련을 진행해 가야 한다. 중단없이, 바르게 소리호흡수련을 해나간다면 나디가 정화되면서, 감각이 조절되어 몸과 마음이 산란해지는 것을 제어하게 되고, 심신은 이전보다 좀더 안정된 상태로 발전해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요가의 마지막 단계인, 모든 것이 정화된 대자유(mokṣa)의 평안에 이르게 된다.

Prāṇa is the source of life and prāṇa is life per se. In yoga, prāṇāyāma starts with the three basic principles of controlling breath: inhale, exhale, and pause. The passage of the body (naḍī) is purified through regulation of breathing and as naḍī is purified, the impurities in body are cleared, stabilizing metabolism and nervous system, harmonizing the components of body; and also, it keeps the mind calm. Specifically, respiratory training with sound has a significant effect mentally and physically by awakening as well as stabilizing the nervous system through resonance. Hence, sound breathing can be fully utilized as a mechanism of mental and physical healing. The basic methods of effects, precautions, and healing plans of sound breathing are explained in this paper. In modern times, breathing practice in yoga is emphasized by Hatha Yoga, which focuses on the posture (āsana) and breathing (prāṇāyāma). Therefore, the contents are based on Yoga Sūtra and focus on the representative Hatha Yoga scriptures such as Hatayogapradīpika, Gheraṇḍa Saṁhita and within this scope, only breathings based on sound were selected. Ocean breathing (ujjāyī prāṇāyāma), cooling breathing (sītalī prāṇāyāma), bellows breathing (bhastrikā prāṇāyāma), and humming bee breathing (bhrāmarī prāṇāyāma) produce constant volume, and long soft sounds, and thus were effective in stabilizing bronchial tubes, pulmonary function, and components of the body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In addition, regular breathing stabilizes the nervous system, improves memory, provides peace mentally and physically, and helps reaching the superconscious status, Samādhi. However, sound breathing should be performed in steps with the guidance of a Yoga master for at least 12 weeks. It should be performed in ste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iratory practitioner as follows: ⓵ Determine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practitioner ⓶ Identify the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and the cause of the conditions ⓷ Determine the respiratory method suitable for the condition ⓸ Specify the duration, step, time, number of times, and location. ⓹ After each session, fill out questionnaire and conduct continuous training. When continuous and proper sound breathing training is achieved, naḍī becomes purified and the sensory organs will be withdrawn to control the scattering of body and mind, developing stable condition mentally and physically, thus leading to the final peace and purified status of freedom (mokṣa).

목차
요약
Abstract
Ⅰ. 머리말
Ⅱ. 호흡수련과 소리의 상관성
    1. 요가호흡
    2. 소리의 원리와 소리효과
Ⅲ. 소리호흡과 심신의 치유기제
    1. 소리중심의 요가호흡
    2. 소리호흡과 심신안정
    3. 소리호흡의 방향성
Ⅳ. 맺음말
References
저자
  • 김소영((사)한국담마요가협회) | So-Young Kim (Korea Dhamma Yoga Association(corporation),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