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가철학에서 의식의 전환 고찰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Consciousness in the Yoga Philosoph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요가철학에서는 의식을 크게 ‘일반의식’과 ’순수의식’로 나누어 설명을 한다. ’일반의식’이란 ’마음(manas, ahaṁkāra, citta, buddhi)’을 종합한 것이다. ’일반의식’에는 ’감각적 의식(manas)’, ‘이기적 의식(ahaṁkāra)’, ’물질로 된 지성적 의식(citta)’과 ’지성적 의식(buddhi)’이 있다. ’일반의식’이 능동적으로 활동을 하고, 속성(guṇa)이 있으며, 전변(轉變, pariṇāma)을 한다면, ’순수의식’은 이와 달리, 수동적으로 활동하며 속성을 갖지 않으며, 전변을 하지도 않는다. ‘감각적 의식’, ‘이기적 의식’ 그리고 ’지성적 의식’은 모두 근본 물질원리로부터 전변된 의식이므로 그것은 ’순수의식’이 아니다. 이러한 ’일반의식’은 여러 단계의 수련(abhyāsa)과 이욕(vairāgya)을 통해 ’순수의식’으로 전환이 된다. 따라서 ’순수의식’은 주로 ’puruṣa’가 쓰인다. 무상삼매는 수행과 ‘최고 이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지성적 의식’은 ’순수의식’을 경험함으로써 자유로워지고, ’삼매를 얻기 위한 온전한 지혜’로부터 발생하는 잠세력마저도 억제될 때 무종자 삼매가 실현된다. 법운삼매는 ’순수의식’이 세 속성으로부터 벗어난 ’최고 이욕’ 상태가 되면 나타난다. 그러므로 요가의 최종 목표는 지혜가 아니고 이욕이다.

A consciousness are divided into ‘general consciousness’ and ‘pure consciousness(puruṣa)’ in the Yoga philosophy. ‘General consciousness’ is a combination of mind. There are three types of general consciousness, that is sensuous consciousness(manas), selfish consciousness(ahaṁkāra), and intellectual consciousness of material(citta)/and intellectual consciousness(buddhi). evolution. If the ‘general consciousness’ is active, there is an attribute(guṇa), and the evolution(pariṇāma), on the other hand, the pure consciousness is passive, has no attributes, and does not change. ‘Sensuous consciousness’, ‘selfish consciousness’ and ‘intellectual consciousness’ are all consciously transformed from the fundamental material principle(mūla-prakṛti), so it is not ‘pure consciousness(puruṣa)’. This ‘general consciousness’ is converted to ‘pure consciousness’ through various stages of practice(abhyāsa) and leaving greed(vairāgya). Therefore, ‘pure consciousness’ is mainly used for puruṣa. Asaṃprajñāta-samādhi(無想三昧) can be obtained through practice and ‘highest leaving greed(para-vairāgya)’. ‘Intellectual consciousness’ is liberated by experiencing ‘pure consciousness’, and even when the latent forces(saṃskāra) arising from ‘perfect wisdom to obtain samādhi’ are suppressed, nirbīja-samādhi(無種子三昧) is realized. Dharmamegha-samādhi(法雲三昧) appears when the 'pure consciousness' is in the state of ’highest leaving greed(para-vairāgya), which is deviated from the three attributes(triguṇas).

목차
요약
Abstract
Ⅰ. 들어가는 글
Ⅱ. 일반의식
    1. 감각적 의식
    2. 이기적 의식
    3. 지성적 의식
Ⅲ. 순수의식의 발현
    1. 무상삼매와 최고의 이욕
    2. 순수의식의 발현
Ⅳ. 나가는 글
Reference
저자
  • 문을식(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 Moon, Eul-sik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Body-Mind Holistic Healing,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Seoul,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