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송라 용매 농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활성에 대한 연구 KCI 등재후보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Usnea diffracta Vain. extra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연구는 송라 추출물이 피부관련 질환에 중요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와 항염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와 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에서 50% 에탄올, 70%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고, 부분적으로 70%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과 달리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70% 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피부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주를 이용해 피부염증 완화 효능을 검증한 결과. 70% 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 처리시 TNF-α와 IFN-γ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인 CCL17과 CCL22의 수치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송라 70% 에탄올, 95% 에탄올 추출물은 향후 피부질환에 관련된 기능성 소재 및 민감성 피부관련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materials that can improve skin diseases using Usnea diffracta Vain. extracts. As a result of measuring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50%% ethanol, 70% ethanol, and 95% ethanol extracts had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other solvent extrac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70% ethanol, 95% ethanol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oxidant ability was excellent even at a low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extrac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icacy of reducing skin inflammation against 70% ethanol, 95% ethanol extract using the HaCaT cell lin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tein level of the CCL17 and CCL22 cytokine increased by TNF-α and IFN-γ decreased dosedependent,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70% ethanol, 95% ethanol extract of Usnea diffracta Vain. is likely to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related to skin diseases in the future.

목차
요약
Abstracts
Introduction
Research method
    1. 시료의 제조
    2. 항산화활성
    3. 항아토피 활성
    4. 통계처리
Result
    1. 송라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3. TNF-α/ INF-γ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송라 용매별 추출물의 효능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최연(마음치유연구소) | Choi Yeon (Mind Healing Institute, 147, Saemal-ro, Songpa-gu, Seoul) Corresponding author
  • 김종두(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 Kim Jong Du (Department of Naturopathic, Dongbang Culture University, Seongbuk-ro 28 road 60, Seongbuk-gu,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