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ccommodative Response of Open Autorefractometer with Visual Distance KCI 등재

개방형 자동 굴절 검사기의 주시 거리에 따른 조절 반응량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개방형 자동 굴절 검사계를 이용하여 무한대 거리 주시 상태와 특정 거리 주시 상태에서의 측정값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 31명(22.66±1.2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 (WAM-5500)를 사용하여‘무한대 거리, 6 m, 3 m’ 거리에서 시표를 주시 후 동적 조절 반응량을 3회 측정하여 평 균값을 기록하였다. 무한대 거리 주시는 건물 밖의 하늘을 주시할 수 있는 공간에서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공간에 서 6 m와 3 m 주시 상태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 무한대 거리의 평균은 –1.71±2.11 D로 나타났고, 6 m에서 -1.67±2.01 D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m에서는 –1.58±1.99 D로 측정되었고, 무한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거리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6 m 거리 평 균 차이는 +0.24 D, 3 m에서는 +0.41 D이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0.050). 또한 정시의 동적 조절 반응량 은 ‘무한대, 6 m, 3 m’ 순서대로, 0.07±0.05 D, –0.02±0.35 D, –0.04±0.18 D로 나타났다(p=0.260). 원시는 0.67±0.09 D, 0.36±0.3 D, 0.33±0.3 D로 측정되었으며,(p=0.860) 마지막으로 근시의 무한대 거리 동적 조절 반응량으로는 –2.86±1.77 D이며 6 m에서는 –2.65±1.84 D, 3 m에서는 –2.53±1.88 D이었다(p=0.980).
결론 : 본 연구는 ‘무한대, 6 m, 3 m’ 거리로 동적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였다. 무한대 주시시 근거리 보다 더 큰 (-) 굴절력이 측정되었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결과에서는 임상적으로 고려할 만한 차이 가 관찰되었기에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s in the infinite and the specific distance gaze state with an open automatic refractor.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31 adults (22.66±1.27 years old) with no abnormal binocular vision. Using an open automatic refractor (WAM-5500), the mean of refractive power was recorded by measuring the accommodative response three times while viewing at infinite distance, 6 and 3 m targets. Infinite distance fixation was measured in a space where the sky outside of a building could be viewed.
Results : The average of infinite distances was –1.71±2.11 D, and at 6 m it was measured as –1.67±2.01 D. Finally, at 3 m it was measured as –1.58±1.99 D, and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each distance with respect to infinity. The difference in the mean of difference of 6 m distance was +0.24 D, and 3 m was +0.41 D, showing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 >0.050). In addition, in the order of infinite, 6 m and 3 m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of emmetropia was 0.07±0.05 D, –0.02±0.35 D and –0.04±0.18 D (p=0.260), respectively. That of hyperopia showed 0.67±0.09 D, 0.36±0.3 D and 0.33±0.3 D (p=0.86), respectively. Finally,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at the infinite distance in myopia was –2.86±1.77 D, 6m was –2.65±1.84 D and 3m was –2.53±1.88 D (p=0.980).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was measured at infinite, 6 m and 3 m distances. When looking at infinite gaze, greater (-) refractive power was found than nea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further research is considered necessary as some results were observed differences that could be clinically considered.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3. 통계 분석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무한대, 6 m, 3 m‘거리의 동적 조절 반응량 평균 값
    3. 정시와 비정시별 조절 반응량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요 약
저자
  • Heui-Yean Lee(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 이희연
  • Ji-Soo Jung(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 정지수
  • Phalin Hor(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 허팔린
  • Yee-Rin Jung(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교수) | 정예린
  • Inn-Jee Park(대경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 박인지
  • Byoung-Sun Chu(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교수) | 추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