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and reliability of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Interpupillary Distance.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50 Cambodian adults (28.08±3.85 years old) without ocular disease and abnormal binocular vision. Far/near IPD was measured using Corneal reflection pupillometer, PD ruller and spotting, and calculated formula for fixation distance. Using each method, the pupil distance of both eyes was measured three time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 was recorded. Results : The average value of the corneal reflection pupilometer in the distance was 63.08±3.42 mm, the average value of PD calculated formula was 62.97±3.41 mm, the average value of the PD ruler was 63.72±3.17 mm,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spotting method was 63.89±3.15 mm. The average value of the corneal reflection pupilometer in the near was 59.85±3.23 mm,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formula for fixation distance was 59.95±3.23 mm, the average value of PD ruler was 59.72±3.29 mm, and the average value spotting method was 59.47±3.23 mm. Comparison between various methods in the distance and ne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Conclusion :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each method, the corneal reflection pupillometer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ccurate method, but si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Spotting method, the PD Ruler Viktorin method, and the calculated formula for fixation distance, whichever method is used, it is clinically acceptabl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each method is compatible with each other. Key words : Corneal reflection pupillometer, PD meter, PD ruler, Spotting
        4,0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개방형 자동 굴절 검사계를 이용하여 무한대 거리 주시 상태와 특정 거리 주시 상태에서의 측정값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 31명(22.66±1.2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 (WAM-5500)를 사용하여‘무한대 거리, 6 m, 3 m’ 거리에서 시표를 주시 후 동적 조절 반응량을 3회 측정하여 평 균값을 기록하였다. 무한대 거리 주시는 건물 밖의 하늘을 주시할 수 있는 공간에서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공간에 서 6 m와 3 m 주시 상태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 무한대 거리의 평균은 –1.71±2.11 D로 나타났고, 6 m에서 -1.67±2.01 D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m에서는 –1.58±1.99 D로 측정되었고, 무한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거리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6 m 거리 평 균 차이는 +0.24 D, 3 m에서는 +0.41 D이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0.050). 또한 정시의 동적 조절 반응량 은 ‘무한대, 6 m, 3 m’ 순서대로, 0.07±0.05 D, –0.02±0.35 D, –0.04±0.18 D로 나타났다(p=0.260). 원시는 0.67±0.09 D, 0.36±0.3 D, 0.33±0.3 D로 측정되었으며,(p=0.860) 마지막으로 근시의 무한대 거리 동적 조절 반응량으로는 –2.86±1.77 D이며 6 m에서는 –2.65±1.84 D, 3 m에서는 –2.53±1.88 D이었다(p=0.980). 결론 : 본 연구는 ‘무한대, 6 m, 3 m’ 거리로 동적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였다. 무한대 주시시 근거리 보다 더 큰 (-) 굴절력이 측정되었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결과에서는 임상적으로 고려할 만한 차이 가 관찰되었기에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