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 of Spherical Aberration in Early Presbyopia Wearing Center-Near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KCI 등재

초기노안에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구면수차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초기노안을 대상으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구면수차가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초기노안 50명을 대상으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하고 일주일의 적응 기간 후 원·근거 리 시력과 구면수차의 변화 및 원·근거리 시력 개선에 필요한 추가 교정도수를 확인하였고, 시력만족도는 설문조 사로 확인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평균 교정굴절력은 –2.65±1.67 D, 가입도는 +1.15±0.05 D이었으며, 안구 구면수차는 0.010±0.028 ㎛였으며, 이 중 37명(72 %)은 양의 구면수차(0.028±0.017 ㎛)를, 13명(28 %)은 음의 구면수차 (–0.020±0.010 ㎛)를 갖고 있었다.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양의 구면수차를 가 진 그룹은 -0.012±0.005 ㎛로,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은 –0.043±0.010 μm로 모두 음(-)의 방향으로 증 가하였다(p<0.050).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100% 원거리 시력(logMAR)은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 에서는 –0.014±0.090,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0.022±0.120으로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 더 좋았고(p<0.001), 100% 고대비 근시력(logMAR)은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0.127±0.090, 음의 구면 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0.118±0.090으로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 더 좋았다(p<0.001). 설문조사 결과 에서는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원거리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중 간거리와 근거리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았다(p<0.050).
결론 :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처방 후 구면수차가 변할 수 있고, 착용자의 안구 구면수차에 따라 원·근거리 시력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처방할 때 착용자의 구면 수차를 확인한다면 처방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pherical aberration (SA) and its effect on the visual acuity (VA) after wearing center-near multifocal contact lens (CN-MFCL) in the early presbyopia. Methods : The fifty early presbyopic patients were participated. After one week of wearing a CN-MFCL, distance and near VA, SA change and additional power required to improve far and near vision were measured. The visual satisfaction was performed with the questionnaire.
Results : The average refractive and addition power of the patients were -2.65±1.67 D, and +1.15±0.05 D. The ocular SA was 0.01±0.028 μm, of which 37 subjects (72 %) had positive SA (0.028±0.017 μm), and 13 subjects (28 %) had negative SA (–0.020±0.010 μm). After CN-MFCL wearing, the SA changed significantly to the negative (-) direction from 0.028±0.017 μm to -0.012±0.005 μm in the positive SA group (p<0.050), and the SA significantly increased to the negative direction from –0.020±0.010 μm to –0.043±0.010 μm in the negative SA group (p<0.050). The 100% distant VA (logMAR) after wearing CN-MFCL was -0.014±0.090 in the positive SA group, and 0.022±0.120 in the negative SA group that shows better distance VA in the positive SA group (p<0.001). The 100% near VA (logMAR) was 0.127±0.090 in the positive SA group, and 0.118±0.090 in the negative SA group that shows better near VA in the negative SA group (p<0.001). In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positive SA group showed good distance visual satisfaction, and the negative SA group showed good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satisfaction (p<0.050).
Conclusion : The SA can be changed after wearing CN-MFCL and visual satisfaction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ontact lens wear’s ocular SA. Therefore, when prescribing MFCL, it is need to consider the wearer’s ocular SA to improve prescription succes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재료)
    2. 검사방법
    3. 통계처리
Ⅲ. 결 과
    1. 대상자 정보
    2. 나이와 구면수차의 관계
    3. 굴절이상도와 구면수차의 관계
    4.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구면수차의 변화
    5.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원거리 및근거리 시력
    6. 설문조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Hyo-Seung Jang(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대학원생)
  • Koon-Ja Lee(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 이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