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국에서의 K-Contents 확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pread of K-Contents in the United Sta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K-Contents에 대한 미국인들의 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해 구 글트렌드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어는 K-pop과 K-drama이고, 분석결 과 첫째, K-pop은 시간적으로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BTS로 연결 되어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는 미국 전 지역과 특히, 하와이, 캘리포니아, 오레곤 등 서부지역에서의 관심도가 높았다. 둘째, K-drama는 구글 트렌드 상에서의 관심도 분석은 높게 나타나지 않았 고, 지역적으로는 오레곤, 캘리포니아, 버지니아, 일리노이 등 서부와 동 부로 나누어져 있으나, 지역적 분포는 확대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2018년 이후 드라마와 K-pop 모두 우상향의 그래프를 보이고 있어, K-contents의 확산에는 긍정적이지만. K-pop은 확대 단계에, K-drama 는 수용단계에, 그리고 다른 영역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K-pop, K-drama에 국한되어 분석이 진행되었다는 점과 검색량과 같은 정형 데이터에 국한해 산출되어 보다 세밀한 분석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Americans' interest in K-Contents. The analysis tool used Google-Trends, and the main search terms were K-pop and K-dram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time series analysis, interest in K-pop was increasing as it was connected to Psy's Gangnam Style in 2012 and BTS in 2017. And, interest was high in all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but especially in the western regions such as Hawaii, California, and Oregon. Second, K-drama did not show high interest analysis on Google Trends. Geographically, Oregon, California, Virginia, and Illinoi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est, while the interest in all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was low. Third, since 2018, both dramas and K-pop have shown upward-sloping graphs, which is positive for the spread of K-contents. It can be seen that K-pop is in the expansion stage, K-drama is in the acceptance stage, and other area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ly on K-pop and K-drama, and that more detailed analysis is required as it is calculated only for structured data such as search volum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K-contents 확산에 관한 연구
    1. 미국에서의 K-contents의 확산과정
    2. 미국에서의 K-contents 수용과 확산과 관련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1. 구글 트랜드
    2. 키워드 추출 및 카테고리화
Ⅳ. 분석결과
    1. K-contents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2. K-contents 관심도에 대한 지역적 분석
    3. 미국에서의 K-contents의 확산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학실(충북대학교) | Kim, Hak-Si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