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대도시의 연령-특수적 전출입 플로 분석: 2020년 인구이동을 사례로 KCI 등재

Analyzing Age-Specific In- and Out-Migration Flows in Major Metropolitan Cities in South Korea, 202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703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2.22.2.0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우리나라 대도시의 지역-연령-특수적 인구이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연령- 특수적 인구이동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는데, 지역-특수적 인구이동 연구를 위한 공간단위를 새롭게 규정하 고, 인구이동 플로의 연령 특화도 분석을 위해 플로 SSD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적 토대 위에서 연구 절차를 정련화하여 우리나라 7대 특별・광역시의 2020년 인구이동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의 경우, 특화된 전출 플로는 모든 연령 그룹에서 골고루 나타나지만 연령 그룹 간에 공간적 분리가 현저하다. 특화된 전입 플로는 25~29세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전출 플로에 비해 특화도도 높다. 둘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은 유사한 경향을 보여준다. 특화된 전출 플로는 25~29세에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35~39세에 가장 적다. 특화된 전입 플로 역시 25~29세에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25~29세에 특화된 전출 플로는 주로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고, 65~69세는 주변의 시군 지역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연령 그룹별 특화 지역이 전입 플로와 전출 플로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공간적 일치성을 보이지만, 특화 플로의 수와 특화도는 전입 플로가 전출 플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낮다. 셋째, 인천은 다른 광역시와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 전출 플로와 전입 플로 모두에서 연령 그룹이 25~29세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35~39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전입 플로와 전출 플로 사이에서 연령 그룹별 특화 지역의 공간적 일치성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향후에 방법론적 정련화와 보다 많은 지역 혹은 보다 많은 시점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주요어 : 지역-연령-특수적, 플로 표준화상이점수, 공간단위, 전출, 전입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egional-age-specfic population movement characteristics of Korea’s major cities. To this end, we intend to lay a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the region-age-specific migration research, attempting to define new spatial units for region-specific migration research, and utilizing the flow SSD to analyze the age specificity of migration flows. On this methodological basis, the research procedure was refined and analyzed for the 2020 population movement data of the seven major cities in Korea.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eoul, the specialized out-migration flows appear evenly in all age groups, but spatial separation between age groups is remarkable. The specialized in-migration flows appear intensively at the age of 25 to 29, and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out-migration flows. Second, Busan, Daegu, Gwangju, Daejeon, and Ulsan show similar trends. The specialized out-migration flows appear predominantly at the ages of 25 to 29, and are the least at the ages of 35 to 39. The specialized in-migration flows also appear predominantly at the ages of 25 to 29. Specialized out-migration flows for the ages of 25 to 29 tend to be mainly concentrated in the Capital Region, while those aged 65 to 69 tend to be limited to the surrounding areas. Although specialized areas by age group show some spatial consistency between the out-migration and in-migration flows, the number of specialized flows and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of the in-migration flows are relatively small and lower than that of the out-migration flows. Third, Incheon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metropolitan cities. In both the out-migration and in-migration flows, the age group tends to appear evenly without being concentrated at the ages of 25 to 29,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35 to 39 years old is relatively high. Between the out-migration and in-migration flows, the spatial consistency of specialized areas by age group does not stand out. In the future, methodological refining and empirical analysis of more regions or more points of time are expected.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지역-연령-특수적 인구이동 연구를위한 방법론적 토대
    1. 지역-특수적 인구이동 플로 연구를 위한공간단위의 규정
    2. 인구이동 플로의 연령 특화도 분석을위한 측도
III. 우리나라 특별・광역시의 2020년인구이동 플로 분석
    1. 데이터와 분석 절차
    2. 특별・광역시별 연령-특수적 전출입 플로분석 결과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상일(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 Sang-Il Le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현미(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 Hyun-Mi Kim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