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지 보조기의 전통적인 제작방법과 3D 프린팅을 활용한 제작방법의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s with the 3D Printing Method for Spli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8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서론 :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의 전통적인 제작방법과 3D 프린팅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임상 적용 가능성과 작업치료 교육 과정에의 도입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론 : 작업치료사들이 전통적으로 보조기를 제작하는 과정과 3D 프린팅 방법을 사용한 보조기 제작 과정을 알아보고 프 린팅 방식과 사용되는 재료, 신체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전통적인 제작방법이 가지는 한계와 3D 프린팅 방법에 의한 제작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였고 임상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존재 하였다.
결론 : 3D 프린팅 기술이 재활치료 분야에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어 향후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임상적용이 될 날이 다가 올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임상에서의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치료적 적용을 위한 보조기 제작법을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손 보조기를 제작하는 방법을 교육함과 더불어 시대에 맞는 새로운 기술을 작업치료교육에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Introduction : This study compared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with the 3D printing method for splints(orthosis).
Main point : The process of making splints traditionally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another process using 3D printing method was investigated. The printing method, the materials used, and the method of measuring body structure were also examined. This study found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3D printing method. To adapt the 3D printing method for splint in clinical practice, those disadvantages need to be solved. Conclusion : As the importance of 3D printing technology is highlighted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its use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will be necessary. Efforts will be needed to educate on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for splints as well as introduce new technology suitable for recent clinical practice into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curriculum.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본 론
    1. 전통적인 보조기 제작 방법
    2. 3D 프린터 기술을 이용한 보조기 제작
    3. 전통적인 보조기 제작 방법과 3D프린터 기술을 이용한 보조기 제작방법의 비교
Ⅲ. 결 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은주(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Kim, Eun-Jo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Jeonj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