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splint fabrication methods currently used in clinical fields. Traditional Orthotic Fabrication Method Utilizing Thermoplastic Resin, the Methodology for creating assistive devices using 3D scanner, commercial CAD software, and 3D printing technology, and the Fabrication Method of Arm Splint Based on XR (eXtended Reality) Algorithm. Objectives: The study recruited 12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who had sufficient knowledge of splints, with an equal gender distribution. The study randomized the participants and conducted the experiment and overall process using a stratified approach. Design: Clinical applied technology experiment Methods: The study used QUEST 2.0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ver. 2.0) to survey standardization, weight, ease of use, safety, durability, usability, effectiveness, and patient satisfaction, and statistically analyzed all results as quantitative indicators. Results: The score of QUEST 2.0 showed different aspects in some items,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ertain technologies are superior overall. Conclusion: The study attempted an intuitiv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verall, it was concluded that the XR method, which allows for easy and fast fabrication, is likely to be more readily accepted in future clinical practice.
        4,000원
        2.
        202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fiberglass splint and cast are examin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As observed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iberglass splint and cast had a porous structure with many bundles of fiberglass textures well assembled. Spaces between bundles of the fiberglass splint are triangular or elliptical shaped and the long-axis diameter is measured at about 1 mm. The thickness of fiber bundles covered with plaster is measured at 600 μm and the diameter of a single strand of fiberglass is up to 10 μm. The thickness of the fiberglass bundle of the fiberglass splint is measured at about 700 μm. Spaces between bundles are formed in the shape of triangles with gentle edges and long-axis diameter of up to 1.4 mm,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the splint. The thickness of a single strand of fiberglass of the plaster-coated cast is 11.5 μm, which is thicker than that of fiberglass of the splint. As a result of analyzing constituent elements of the fiberglass cast and the splint with a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Ca, Si, and Al components are identically detected. This result shows that the fiberglass cast has a smoother surface with hardened plaster than the fiberglass splint. The thickness of the fiberglass bundle and the thickness of a single strand of the fiberglass are also larger than those of the fiberglass splint.
        4,000원
        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으로 진단 받은 11세 남성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증례 보고 방법 중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1회기씩 2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고 중재기 10회기는 하루 6시간 short thumb opponens splint를 착용 하는 중재를 실시한 후 평가하였다. 추적기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다. 평가는 손기능 평가를 위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상지 기민성 검사(nine-hole pegboard test)와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상지 기능 평가를 위한 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 검사를 통해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중재 결과, 상지 기능(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과 손기능(BBT, nine-hole pegboard test)은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기능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임상적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3D 프린팅 기술을 상지보조기 제작에 적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 보고, 향후 작업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상지보조기 제작에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정리하여 임상적용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논문을 전자 데이터베이스 RISS, KISS, Scopus, PubMed와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로는 “3D Printing AND Orthosis OR Splint OR Brace”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2차 분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16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결과 : 분석대상 논문의 약 80%가 단일대상 실험연구 및 사례연구로 질적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제작자의 전공을 분석한 결과, 크게 4가지 계열로 구분됐으며, 그 중에서 공학계열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보건계열이 많았으며, 작업치료전공자는 2명이었다. 제작된 상지보조기의 종류는 6가지였으며, 그 중에서 코크 업 보조기와 손가락 보조기가 가장 많이 제작되었다.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된 소재는 플라스틱 소재중 하나인 ABS수지였다. 분석된 논문에서 사용된 제조공법은 총 4가지가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제조공법은 FDM방식이다. 상지보조기 제작을 위한 상지 측정방법으로는 3D 스캐너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하여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상지보조기 제작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 중 한가지인 상지보조기 제작에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초근거를 제공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치료분야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상지보조기 개발 및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4,800원
        5.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식사보조도구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5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남자 1명이었으며, 연구는 사례연구였다. 식사보조도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평가한 후 작업치료사가 대상자에게 적합한 형태를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식사보조도구 적용 전과 후 대상자의 자가-섭식 기능의 변화는 일상생활평가도구인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중 먹기(eating)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수행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항목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식사보조도구를 적용한 이후 FIM의 먹기 영역의 점수는 2점에서 5점으로 증가되었고, 만족도 점수는 2점에서 8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한 식사보조도구의 적용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등쪽 손목 스프린트(dorsal wrist splint) 적용이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8세 5개월 된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여자 아동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등쪽 손목 스프린트는 12주 동안 매일 하루 평균 4시간 동안 착용 하도록 하였고, 스프린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1시간씩 주 3회 환측 손으로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손 기능은 기초선 과정(5회)과 치료 과정(12회), 기초선 회귀 과정(3회) 동안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 Block Test)와 수직선 그리기 검사(Vertical Line Drawing Te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손 기능은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 향상되었으며 이 향상은 기초선 회귀 과정 동안에도 계속 지속되었다. 결론 : 등쪽 손목 스프린트는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환측 손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손목의 외부적 지지를 통해 손가락 움직임의 조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n the activity and power of the wrist flexors and extensors in subjects before the use of a wrist extension splint, after nighttime wearing of the splint, and after daytime wearing of the splint. Ten healthy male and ten healthy female students (mean: 22.4±1.2 years old) volunteered to wear custom-made wrist splints either during the night or during the day, The hand force of the wrist flexor and extensor, and grip force were measured by PowerTrack II and Dynatron,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activities of the wrist flexor and extensor were recorded by' surface electromyography. The maximal hand force and motor unit recruitment of the flexor carpi ulnatis (FCU) increased significantly (p<.05) when tile subjects wore the wrist splints during the daytime, but the maximal hand power of the FCU decreased with nighttime use of the splints. The maximal hand power and motor unit recruitment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ECR) and the ECR/FCU ratio decreased both during nighttime and daytime use. The decrement of the ECR/FCU ratio was significant (p<.05). Wearing a wrist extension splint during nighttime led to the maintenance of a lengthened position of the wrist flexor, resulting in the wrist flexor becoming weak. Wearing a wrist extension splint during the day induced the wrist flexors to be greater. In healthy people, the imbalance between the wrist flexors and extensors may be caused by the use of a wrist extension splint.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apists have to consider whether a splint will be effective, as well as the wearing time, when prescribing splints to people with problem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4,000원
        8.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fined increased active motion utilizing tenodesis splint and vibratory stimulation during functional activities. We selected three left cerebral vascular accident right hand dominance with right hemiplegic patients. who has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occupational therapy. Patients participated twice per week from June 1st 1997 until August 30th 1997. According to our study, improvement has been noted in active extension with vibratory stimulation only. No signifinicant improvement was noted with tenodesis splint.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generalization of stimulation for therapeutic use.
        4,000원
        9.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umb adduction is an abnormal pattern typically noted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is abnormal pattern can limit hand function, specifically in the type and quality of prehension pattern used and in the coordination of release. This ABAB single-subject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rt thumb opponens splint on hand function in cerebral palsy. The subject was a 4 years and 8 months old boy with right upper extremity spasticity. The child was fitted with a short thumb opponens splint, which was worn for 8 hours per day during the daytime. Two different measures were used: (a) prehension component scores; (b)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Data was collected three times a week for 10 weeks. Visual analysis of data indicate that after the application of a short thumb opponens splint, improvements were noted in the prehension pattern and fine motor functional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hort thumb opponens splint may prove efficaciousness in the treatment of the child with cerebral pals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