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 정서행동 특성이 자살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위험집단의 취 약성 파악에 목적이 있다. 종속변수는 자살 생각과 계획, 시도를 포함하여 자살 위험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일반적 특성과 학교폭력의 위험요인, 정서.행동 요인, 성격 요인으 로 설정하였다. 첫째, T-검정과 ANOVA를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변수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자살 위험과 정서.행동 문제에서 여학생의 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 약물 오남 용과 자존감, 부모와의 관계에서는 남학생이 높았으며, 성적에 따른 자살 위험의 차이는 유 의하지 않았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자살 위험 영향요인 파악에서는 성적과 자존 감이 높고, 부모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살 위험이 낮아졌다. 자살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는 심리적 부담(.733), 기분 문제(.327), 약물 오남용(.174), 인터넷 의존(.146) 순으로 나 타났다. 셋째, 교차분석을 활용한 집단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살 위험의 비중이 높은 집 단은 심리적 부담, 기분 문제, 불안 문제의 관리군과 자기통제 부진의 일반군, 약물 오남용 관리군, 인터넷 의존 일반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자살 위험성 분석에서는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위험성이 높았고, 기분 문제 관리군, 약물 오 남용 관리군, 불안 문제 관리군, 인터넷 의존 관리군, 낮은 자존감 집단과 낮은 공동체 의식 집단에서 자살의 위험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청소년 자살 위험은 개인의 성격, 정서.행 동 특성 및 사회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복합적으로 나타나므로, 위험군의 개별적 접근 보다는 지역사회 공동체에 의한 협력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youth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suicide risk and to understand the vulnerability of risk group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suicide risk, including suicidal thoughts, plans, and attempt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general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for school violenc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and personality factor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using the T-test and the ANOVA, the risk of suicide and the risk of female student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hig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abuse, self-esteem, and parents, male students were high, and the difference in suicide risk according to grades was not significant. Second, in identifying suicide risk influencing factor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rades and self-esteem were high, and the more positive the parent relationship, the lower the risk of suicide. Factors that increase the risk of suicide were psychological burden (733), mood problems (.327), drug abuse (.174), and Internet dependence (146).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group using cross-analysis, the groups with a high proportion of suicide risk were identified as the management group of psychological burden, mood problems, anxiety problems, poor self-control, drug abuse management group, and Internet dependence. Fourth, in the analysis of suicide risk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of suicide was high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nd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risk of suicide was found to be high in the mood problem management group, drug abuse management group, anxiety problem management group, Internet dependence management group, low self-esteem group, and low community conscious group. Youth suicide risk is complex due to the interaction of individual personality,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o intervention in cooperation programs by local communities is necessary rather than individual approaches of risk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