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동북3성 조선족학교 언어교육 현황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Language Education in Chinese-Korean Schools in 3 Northeast China Provin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0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 논문은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에 대한 동화정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 에서 중국 조선족학교의 교실 안팎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언어교육 현황에 대해 고찰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의 언어교육에 대해 청각적인 요소의 음성 언어와 더불어 시각적인 문자 언어까지 언어교육의 범주에 포함시켜 교실 안과 밖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교실 안 언어교육에서는 수업에서의 언어, 교재, 학 생 간의 대화 등의 음성 언어와 교실에서의 문자 게시물, 학생 작품 등의 문자 언어 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실 밖 언어교육에서는 문자화된 행정문서와 학교 곳곳의 시설물 문자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족학교의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에서 중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많은 부분이 점차 동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민족정체성 회복을 위한 조선어 교육 언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하 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보다는 민간 기관에서 동북3성에 있는 조선족학교 와 민족언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협의체를 만들어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At present, the Chinese government’s assimilation policy for ethnic minorities is being implemented explicitly.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anguage education in and outside the classroom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In this study, the language education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was divided into and out of the classroom by including the visual and written language as well as the spoken language of the auditory element into the category of language education. First, in language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spoken language such as language in class, textbooks, and student-to-student conversations, as well as written language such as text postings and student work in the classroom were examined. Next, in language education outside the classroom, we looked at written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the texts of facilities throughout the scho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ny parts of the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of Chinese-Korean schools are gradually assimilating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Therefore, it is a big task in the future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change in the language environment that is currently taking place in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and to think about what we can do in response to this change.

목차
초록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선행 연구
    2) 중국 소수민족 언어 정책
3. 동북 3성 조선족학교 언어교육 현황
    1) 교실 안 언어교육
    2) 교실 밖 언어교육
4.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안병삼(삼육대학교 항공관광외국어학부 조교수) | An Byung-Sam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