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d the dual linguistic challenges experienc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English-Medium Instruction (EMI) programs at South Korean universities. Drawing 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2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wo leading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s navigate the linguistic demands of studying in English while simultaneously adjusting to Korean as the dominant campus language.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encounter significant obstacles, including professors’ limited English proficiency, inconsistent classroom language policies, and marginalization in group work and class discussions. Despite these difficulties, many students gradually adapted through self-directed strategies and peer support, ultimately gaining academic and linguistic benefits. Some participants reported enhanced preparedness for further studie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developed bilingual competencies. The study highlights the complex realities of EMI implementation for non-Anglophone international students and calls for more transparent language policies, targeted support programs, and inclusive pedagogical practices to promote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유학 중인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무용전공 중국유학생 208명을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 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동기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에서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 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둘째,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 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 였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 과는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를 검토하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차별적 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 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둔다.
Chinese character writing is one of learning difficulties for Korean learner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stroke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by Korean learner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Based on the elementary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in the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conducts a stroke analysis, and combines the whole-process interlanguage character database and the interlanguage text corpus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conduct an investigation, and explores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Chinese character strokes of Korean learner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elementary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with 7 strokes or less account for 60% among elementary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and these Chinese characters are easy for learners to acquire. The error rate of Chinese characters with 1-7 strokes is 2.8%, while the error rate of Chinese characters with 8-14 strokes is 6.4%. The error rate of Chinese characters with 8-14 strok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nese characters with 1-7 strokes. This paper analyzes the causes of the writing problems and puts forward suggestions for teaching character strokes, hoping to provide effective help for teachers, thus helping to improve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level of Korean learner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2021년 제정된 国际中文教育中文水平等级标准(이하 等级标准)은 등급별·기능 중 심의 문법 교육 체계를 제시하고 있으나, 한국인 학습자의 실제 오류 양상과 문법 항목 기술 방식 간에는 상당한 불일치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의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等级标准(初等)의 문법 항목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 고,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적용(critical appl ication)’ 접근법을 채택하여 2000년 이후 국내 문법 오류 관련 선행연구 50편을 분석 하고, 鄧守信(2009)의 ‘기능–구조–용법’ 삼차원 분석 틀을 적용하였다. 오류 빈도가 높은 把자문, 부사류(都, 就, 还), 개사류(在, 向, 对 등)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等 级标准(初等)의 문법 항목 기술 방식과 한국인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 간에 는 구조적·용법적 측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형식 중심의 간략한 예문 제 시는 학습자의 실제 언어적 문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 는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반영한 비판적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 구체적 보완 방향을 모색하였다. 향후 한국인을 위한 표준 중국어교육 요목 설계 및 교육과정 설 계, 평가 등 실질적으로 중국어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lesson topics in two business Chinese textbooks, Delicious Business Chinese and New Silk Road: Elementary Business Chinese Fast Track (China), aiming to explor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opic selec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cultural integration. First, an in-depth analysis of the lesson themes in both textbooks is conducted, examining how they present business scenarios, negotiation strategies, and cultural exchanges.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study reveals that the Korean edition emphasizes integration with Korean corporate culture and workplace etiquette,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practical needs and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learners. In contrast, the Chinese edition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arket and business operation processes. Furthermore, the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differences in topics influence learners’ cross-cultural business communication.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paper offers recommendations on how to balance the localization needs of learners in developing business Chinese textbooks, providing a reference for future textbook compilation and optimization.
The preface, postscript, foreword, and general notices of the Korean Chinese dictionary, contain not only the reason and purpose of compiling the dictionary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hinese dictionaries, but also the understanding and even the view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Korea. Combining the contents of the preface, postscript, foreword, and general notices of Korean dictionaries, as well as other Korean Chinese literature, it analyzes Korea’s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explains the main contents of Korea’s view of Chinese characters from different dimensions, such as the disse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ontology, an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On this basis, a comparison is made with the views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dictionaries and other literature and Chinese character views in Vietnam, to provide new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extraterritorial disse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Chinese characters.
중국 아동 도서 시장은 ‘두 자녀 정책’과 초기 교육 중시 경향으로 빠르게 성장하 며, 자국 창작 도서 개발과 해외 도서 수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을 전후로 한국 아동 도서는 감성적 그림책, 학습 만화, 가정 교육 도서 등으로 중국 시 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 중국 아동 도서 시장은 ‘아동 도서 출판+’ 개념을 도입해 콘텐츠를 확장하고, 온·오프라인 홍보 전략을 결합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아동 도서 시장의 발전 양상과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 아동 도서의 성 공 사례를 검토하여 중국 출판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향후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술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은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특히 ‘사상’은 미술 전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학사상이 반영된 한·중·일 삼국의 풍속 화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미술의 배경을 사상사적으 로 해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중·일 삼국에서 전개된 실학사상은 다소간의 시기적 차이 가 있지만 각국의 정치나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전개되었 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현실과 사실의 중시라는데 특별한 관심 을 가졌고 이러한 경향은 회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풍 속화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18세기에 중국에서는 전통적인 경직도류(耕織圖類)의 제작에 그쳤지만,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백성들의 일상생활을 담아내 는 풍속화가 다수 제작되었다. 조선 후기의 풍속화는 백성들의 다양한 일상을 주제로 다루면서도 태평성대를 지향한 위정자 (爲政者)의 정치적 색채가 더해지며 일본보다는 수요층이 제한 적이었다. 반면 일본의 경우는 풍속화가 붓으로 그리는 육필화 (肉筆畵)에서 목판화인 우키요에(浮世繪)로 형식이 바뀌면서 대 량 제작되어 불특정 다수에 의해 소비되는 독특한 양상을 보여 준다. 따라서 봉건 군주를 부정하며 경세지학(經世之學)에 초점 을 맞추었던 중국을 제외하고 한국과 일본에서 백성들의 일상 을 다룬 풍속화가 그려졌던 것은 실학의 등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중·일 삼국에서 전개된 미술이 여러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므로 실학사상은 한·중·일 삼국의 풍속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를 제공할 것이 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극-유기체-반응(Stimuli-Organism-Response, S-O-R) 모델을 기반으로 사진 콘텐츠 품질, 문화적 특성, 정보 품질, 상 호작용성, 사회적 영향력 변수를 사용해 샤오홍슈 소셜미디어에서 게시 된 한국 강릉 사진 콘텐츠가 중국 수용자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에서 수용자의 관광 의사결정에서 사 진 콘텐츠의 구체적인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 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S-O-R 모델을 기반 으로 샤오홍슈 소셜미디어에서 게시된 강릉 사진 콘텐츠가 중국 수용자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 모델을 구축했다. 그리고 정량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 모델을 검증하고 중국 수용자 방문의 도의 영향 요인을 밝혔다. 연구 결과, 사진 콘텐츠 품질, 문화적 특성, 정보 품질, 상호작용성과 사회적 영향력이 중국 젊은 수용자 방문 태도 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인 방문 태도는 방문의도를 유의미하게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관광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홍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응용 방향을 제공하 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AI-Hub의 ‘방송콘텐츠 한국어-중국어 번역 말뭉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네이버 파파고의 번역 품질을 평가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BL EU 점수를 통해 파파고 번역 품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여 번역 품질의 패턴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파파고 번역은 짧고 단순한 문장에서 높은 성능을 보였으나, 문장이 길고 복잡해질수록 번역 품질이 저 하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구어체 표현이나 문화적 맥락이 필요한 표현에서는 번역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번역 품질 평가 의 이해를 돕고, 파파고 번역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 지표와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번역 품질을 더욱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파파고 번역의 한계점을 개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mon liaison errors made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tendency to add redundant consonants, a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The primary aim is to verify prior findings that such errors, especially involving the addition of the same consonant, are particularly prevalent after the final /ㄴ/ consonant. The study us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gender, region of origin, Korean proficiency,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and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phonological rules. Findings confirm that the addition of identical consonants in / ㄴ/ final consonant is indeed frequent and largely unaffected by learners’ region of origin or Korean proficiency level. However, female learners show a slightly higher error rate compared to male learners. Key contributing factors include differences in syllable structure and phonemic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impact of null consonants, and learners’ limited understanding of Korean syllable and consonant rules. These insights are valuable for Korean language educators in addressing phonological errors among Chinese-speaking learners.
정보 기술이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응용됨에 따라 ‘혼합형’ 수업 교육 모델이 대학 교의 개방 교육에 점차 융합되고 있다. 중국의 많은 대학교들은 시대의 조류를 따라 현대 정보 기술과 원격 개방 교육의 결합을 통해 온라인 핵심 과정, 온라인 학습 공 간, 온라인 교수진, 온라인 학습 서비스, 온라인 학습 평가, 온라인 교수 관리 등을 중심으로 한 ‘혼합형’ 교수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개방대학의 ‘응용 한국어’ 전공 교재 편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한 자율 학습을 강조하는 하는 교재 편찬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온라인 교육 시대에 적합한 교재의 내용 및 디자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는 한국어 발음, 전문 용어, 한국어 문법 및 문법 프로젝트, 평가 방안 등 교재 편찬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각 항목 별로 제시되는 편찬 순서를 구체적으로 소 개하였다.
본고는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어가 현대 중국어와의 의미적 차이를 보이는 점에 착 안하여, 두 언어에서 보이는 동형 한자어의 개별적 의미 발전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생’은 한자 ‘生’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그 본의가 같지만, 다양한 의미로 파생 되면서 독자적인 의미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生’과 ‘생’을 대상으 로 사전과 코퍼스를 활용하여 다의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의미항목을 관통하는 핵 심 의미 자질을 분석하였다. 대조 결과, ‘生’의 핵심 의미 자질은 [+미성숙/미완성]이 었고, ‘생’의 핵심 의미 자질은 [+방향성]이었다. 중국인들에게 ‘生’의 개념은 사물이 본래 지닌 자연적 상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자연스럽지만 아직은 미성숙하고 미완성된 상태가 강조되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에, 한국인들에게 ‘생’의 개념은 싹이 지면을 뚫고 나오는 과정처럼, 특정 조건이나 외부 압력을 극복하면서 전 상태에서 후 상태로의 변화 가능성과 잠재력에 주목하게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방향성이 두 드러지게 나타났다.
중국공산당의 초기 동만지역 한인에 대한 인식은 국공합작이 분열된 후, 동북지역 에 중공당 만주성위가 건립되면서 시작되었다. 첫째시기는 1928년 8월 동만지역에 중공구위(中共區委)가 창립되면서 지식계나 교육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 했으나 한인농민들 속에서 당원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구추백(瞿秋白)의 좌경맹동(盲 動)주의의 영향 하에 4개월도 안되어 조직이 무산되었다. 둘째시기는 중공이 동만 한 인들을 중국 내의 소수민족으로 간주하고 그들의 토지소유권과 참정권을 인정하였기 에 많은 조선공산주의자들이 1국1당의 원칙하에 중공에 가입하여 반제반봉건혁명인 폭동운동을 일으켰다. 하지만 또 한 차례의 좌경모험주의 영항 하에 폭동은 실패로 끝났고 말았다. 셋째시기는 중공당이 민생단이 전개한 자치에 대해 동만지역의 특수 성과 한인민족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친일 혹은 반일적인 차원에서만 인식하 며 중국당화를 추구하면서 근거지 내의 한인들이 대거 숙청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숙청은 당시 왕명의 교조주의 좌경노선에 의해 확대되면서 수많은 한인들이 목숨을 잃었다.
The increasing integration of Chinese in education poses new challenges for countries, with Korea offering valuable insights due to its rich history and resources in Chinese education and domestic examinations. This paper employs a bibliometric perspective to systematically analyze research literature on Korean Domestic Chinese language examinations from 2000 to 2023, aiming to retrospectively and prospectively examine the past two decades of related studie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publication frequencies, literature reviews, and the analysis of keyword frequencies, this study identifie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Korea’s domestic Chinese language examinations, main research domain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ver time. It summariz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proposes future directions,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with testing, the application of diversified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Despite the extensive history and variety of Chinese tests in Korea, the scope of actual domestic examination research is fragmented, with insufficiently diverse methodologies, perspectives, or depth, and an inadequate volume of literature, which results in a lack of systematic inquiry. This research aims to stimulate further scholarly attention to this field, and to offer reference points for the development, reform, and adjustment of Chinese examinations in Korea, China, and beyond.
With the in-depth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second language learners have become an important bridge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Faced with the impact and differences of foreign cultures, many language learners are faced with cultural misunderstandings, social difficulties and other challenges in cross-cultural communication. South Korea and China belong to the same East Asian cultural circle,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are relatively small. Chinese learners tend to ignor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problems, which will bring communication obstacles. Therefor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improve th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Korean Chinese learners. Through the mixed research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is paper ha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ross-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Chinese learners in B University in BUSAN South Korea, and the specific reason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their competence have been learned through the interview metho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research in this paper, It can provide theoretical support and practic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cross-cultural adaptability of Korean Chinese learners and promoting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시기 한자자전에 [華]로 표기된 한자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 하여 [華]로 표기된 한자가 무엇을 의미하고 그 속에 포함된 한자의 원류를 찾아 [華]로 표기된 한자의 속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시기에 출판된 자전석요(字典釋要)(1909), 한선문신옥편(漢鮮文新玉篇)(1913), 자 전대해(字典大海)(1913), 자림보주(字林補註)(1924) 등의 한자자전을 중심으로 [華] 로 표기된 한자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한자의 유형과 특징을 살피면서 [華]로 표기된 한자의 전거(典據)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華]로 표기된 한자의 원류를 파악하고 이 한자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변용되어 사용되는지를 살펴서 한국 근대 시기 한자자전에 [華]로 표기된 한자의 속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당시 사용된 한자의 실태와 역사적 변천사의 재구를 실현함으로써 언어 문자학사와 지성사의 연구는 물론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 연구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아울러 한자문화권의 주요 국가인 중국과 일본 등 같은 성격의 자료 비교를 통해서 당시 사용된 한자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규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