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남자 축구선수들의 12주간 근파워 및 민첩성 트레이닝이 체력요인,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12-week Weight Training with Muscle Strength, Agility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of Elementary School Male Soccer Play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5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남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12주간 근파워 및 민첩성 트레이닝이 체 력요인과 등속성근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남자 축구선수 12명을 대 상으로 근파워와 민첩성 트레이닝 프로그램 6개를 구성하여 12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근파워, 민첩성 트 레이닝 전과 후 운동에 대한 체력요인들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파워의 제자리멀 리뛰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둘째, 근파워의 제자리높이뛰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p<.05). 셋째, 민첩성의 사이드스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이상의 결과로 12주간의 근파 워 민첩성 트레이닝은 초등학교 남자 축구선수들의 순발력과 민첩성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 며, 상해 예방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muscle power and agility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male soccer players. For this purpose, 6 muscle power and agility training programs were organized for 12 elementary school male soccer players and were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result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hysical fitness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muscle strength and agility training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nding long jump in place of muscle power(p<.001).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nding vertical jump of muscle power(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de step of agility(p<.01). As a result, 12 weeks of muscle power and agility training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gility and agility of elementary school male soccer players,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provide training basic data for injury preven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자
    2.2. 근파워 & 민첩성 트레이닝 프로그램
    2.3. 체력측정항목 및 방법
    2.4. 자료 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신체조성
    3.2. 근지구력
    3.3. 근파워
    3.4. 민첩성
    3.5. 근력
    3.6. 등속성 근기능 검사
    3.7.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지선(중원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교수) | Ji-Sun Kim (Department of Sport Industry, Professor, Jungwon University, Chungbuk,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