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상버스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PEO 모델기반 해석 과정을 통해 개인적, 작업적, 그리고 환경적인 부분의 잠재적 문제 요인을 파악해보려고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체장애 및 뇌병변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48명의 대상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고, 장애인이 저상버스를 이용하는데 어려운 요인들을 PEO모델로 분류하여 해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 작업과 환경요소에서는 운전자의 지원부족 및 승, 하차 과정의 작업수행문제가, 사람과 환경 요소에서는 이용자의 사회적 통합시도의 부족, 낮은 보조기기 사용률과 사회적 인식수준의 문제가, 사람과 작업 요소에서는 이용자의 건강상태 및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성공적인 작업수행의 경험 부족이 잠재적인 문제 요소로 확인되었다.
결론 : 이동권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개선을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할 것이며, 향후, 다각적인 분석을 통한 저상버 스 이용자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low-floor bus use and to identify potential problem factors in personal,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rough a PEO model-based analysis process.
Methods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48 subjects experiencing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and the factors that made it difficult for the disabled to use low-floor bus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using the PEO model.
Results : We confirmed that lack of driver's support in occu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ccupational performance problems in the process of getting on and off, and lack of social integration attempts in people and environmental factors, low use of assistive devices, and problems with social awareness, and user's health in people and occupation factors Negative perception of health and disability, and lack of experience in successful occupation performance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problem factors,
Conclusion : It will be very important that is efforts to improve services to guarantee mobility will be very important, and efforts to improve services for low-floor bus users through multilateral analysi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