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 사회 혐오 피해에 대한 법정책적 시사점 KCI 등재

Legal policy countermeasure against hate crime in our socie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618
  • DOIhttps://doi.org/10.15335/GLR.2022.15.4.005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혐오는 장소와 시간을 불문하고 존재하고 있지만 최근 우리 사회는 혐 오 시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타인에 대한 분노와 혐오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혐오범죄의 피해는 개인뿐 아니라 그 개인과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하는 집단과 사회 전체로 확산될 수 있기에 이런 범죄 피해의 심각성으로 인해 혐오범죄를 일반범죄보다 더 무겁게 처벌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범죄의 예방을 위해서는 혐오범죄의 범죄 화와 혐오범죄법의 본질에 따라 가중처벌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혐오범죄법의 입법화를 위해 먼저 혐오로 인한 피 해 실태 파악이 필요하고 이에 국가 기관에서 혐오범죄통계 조사를 위한 법령 마련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또한, 혐오범죄의 예방과 재범 을 낮추기 위해 가해자 교육프로그램 이수명령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새로운 유형의 혐오표현과 범죄에 대해서도 대응방안을 마 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hatred exists in society. It is easy to find clear examples of act that would be labeled hate or hate crime today. However, it is not simple a crime in which the offender hate s the victim. In fact, most crimes involving hatred crime between th e parties would not fall under the legal definition of hate crime. It is need that hate crime is more considered as serious crime rat her than general crimes because the victim of the hate crime is not only to individuals but also to groups and society as a whole. To prevent crime, I thin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crimi nalize hate crime and to impose aggravated punishment according t o the nature of hate crime law.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vising t he current law to allow national agencies to conduct hate crime stat istics surveys to analyze the damage. Also, I thin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olicy to order the offender's education program to preven t hate crimes and reduce repeat offenses. However, if hate crime le gislation is practically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add hate crime mo tivation to the sentencing standards of the sentencing committe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혐오범죄의 개념과 실태
    1. 혐오의 개념과 의의
    2. 혐오표현과 혐오범죄
    3. 혐오표현과 혐오범죄의 실태
    4. 혐오범죄법의 필요성과 신종 혐오 행위에 대한 규제 필요성
Ⅲ. 외국의 혐오범죄에 관한 법정책적 대응
    1. 미국
    2. 영국
    3. 캐나다
Ⅳ. 국내 혐오범죄의 법정책적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
    1. 혐오에 대한 법정책적 대응의 필요성
    2. 혐오범죄 대응을 위한 입법적 대응
Ⅴ.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희정(계명대학교 인권센터 조교수, 법학박사) | Kim Hee Jung (Keimyung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 Assistant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