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of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 Focusing on Traditional Knowledge and Values as Intangible Heritage
이 연구에서는 전통 천문 지식의 개념과 범주,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을 살 펴보고 이러한 전통 천문 지식의 수집과 연구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요 약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전통 천문 지식은 우주, 해, 달, 별 등과 관련된 천문 현상에 대한 전 통 지식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우주에 대한 개념, 하늘 혹은 우주 신화와 의례, 별의 밝기, 별자리, 달의 주기, 한해의 주기, 역법, 점성학 등에 대한 지 식을 말한다. 이러한 천문 지식은 천문학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이 제시되면서 점차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서양에서는 민족천문학 분야가 생겨나면서 국제적인 협력 하에 각국의 천 문 지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고천문학 분 야와 농학, 민속학, 한의학, 역리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역법과 절기, 관천망 기와 점후 등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천문 지식에 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각 영역에 한정되어 있어 천문 지식의 전모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전통 천문 지식은 그 대상에 따라 크게 우주, 해, 달, 별에 관한 지식으로 나 누어 볼 수 있다. 이들에 관한 지식은 다시 생성에 관한 지식, 형태에 관한 지식, 유물로 전승되는 지식, 점복과 관련된 지식, 의례와 관련된 지식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천문 지식은 다시 생산 주체에 따라 전근대 국가 기 관에서 생산한 지식, 전근대 지식인들이나 민간에서 생산한 지식, 근현대 민 간 전승 지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체 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향후 전통 천문 지식에 대해서는 천문 대상별 종합적 연구와 함께 다른 나 라와의 비교 연구, 그리고 전통 천문 지식과 생업과의 관련성, 세시.의례와의 관련성, 미래 예측에 활용되었던 양상과 방식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될 필요 가 있다. 이처럼 전통 천문 지식은 전통 지식의 차원에서나 무형유산의 차원 에서도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전면적인 수집과 정리,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scope of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and the current research status were reviewed, and the collection and research directions of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were suggested.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refers to traditional knowledge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related to the universe, sun, moon, and stars, and specifically, the brightness of stars, constellations, lunar cycles, year cycles, calendars, astrology, concepts about the universe, sky or it refers to knowledge about cosmic myths and rituals. As such astronomical knowledge was presented to the humanities perspective on astronomy, it gradually began to receive attention. In Western academia, as the field of national astronomy emerged, research on astronomical knowledge of each country is actively conducted unde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Korea, research on astronomical knowledge is partially carried out mainly in the fields of ancient astronomy, agriculture, folklore, oriental medicine, epidemiology, etc., mainly on the calendar method, the seasons, but it is limited to each area. There is a limit to comprehending the full picture of astronomical knowledge. Traditional astronomy knowledg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knowledge about the universe,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These knowledge can be divided into knowledge about regeneration, knowledge about shapes, knowledge transmitted as relics, knowledge related to fortune-telling, and knowledge related to rituals. Such astronomical knowledge can be divided into knowledge produced by pre-modern state institutions, knowledge produced by pre-modern intellectuals or the private sector, and knowledge transmitted by modern and modern folklore. Most of the knowledge produced by pre-modern state institutions is shown in the documents compiled by Gwansang-gam, and the knowledge produced by pre-modern intellectuals and the private sector is shown in various historical records, agricultural books, encyclopedic literatures, astrology, and Myongri theory. In addition, knowledge of modern and contemporary folklore is included in oral and field research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se data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should be intensively stud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and livelihood, the relationship with rituals, and the aspects and methods used for future prediction. As such, traditional astronomical knowledge has important meaning and value both in terms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intangible heritage. Therefore, comprehensive collection, arrangement, and full-scale research on it should be carri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