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성격유형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 분석
목적: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차를 통한 업무와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가 많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차를 나타내는 것 중 하나가 성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유형 검사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을 사용하여 성격에 따른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기능 향상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대 성인 남녀 41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을 분류하고 개인별 시기능훈련 도구를 선정하여 시기 능훈련을 실시한 후,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기능 검사값을 비교를 하였다.
결과 :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기능 검사를 통해 MBTI 4가지 기질 간의 양안시기능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조절래그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SP기질의 조절래그 변화량의 평균이 SJ기질의 조절래그 변화량 평 균보다 음의 방향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0).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기 능 검사를 통해 MBTI 선호지표 간의 양안시기능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판단 지표인 사고(T)-이상(F)에서는 원거 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 회복점, 융합용이성, 단안 조절력 검사에서 사고형의 향상도가 이상형의 향상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0).
결론 : 이상의 결론에서 MBTI 성격유형 간의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기능 변화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성격유형에 따라서 시기능훈련의 변화량이 다를 수 있으며, 개인의 성격유형을 반영한 시기능훈련 방식을 고안한다면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시기능훈련 효과를 예상하고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 료 된다.
Purpose :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introduc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ork and education through individual differences in various fields. One of the things that represent this individual difference is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was studie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personality type test attempted for human understanding.
Methods : The MBTI personality type was classified for 41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dividual visual function training tools were selected, and the visual function test valu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visual function training.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change between the four MBTI temperaments through binocular vision function before and after vision trai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CC mean of variation. The mean of variation of FCC of the SP temperament was higher in the negative direction than the mean of variation of the FCC of the SJ temperament,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p<0.050).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mean of variation between MBTI types before and after visual function training, the improvement of the T (Thinking)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 (Feeling) type in the distance BO vergence’s Break and Recovery points, Vergence facility, and accommodation amplitude(p<0.050).
Conclusion : In the abov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visual functional training before and after visual functional training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and through this,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visual functional train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