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 장애인 연구 동향 및 활성화 방안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Revitalization of Disabled Persons in Korea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8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 장애인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을 통해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활성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이후 ‘4차 산업혁명’과 ‘장애인’이라는 주제어 검 색을 통해 최종 33편의 학술연구·논문을 선정,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 한 변인 기준 연구 현황과 동향, 키워드 추출 및 분석, 맥락적 흐름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 및 산업 구조 의 변화로 장애인 고용 및 노동환경, 지속적 사회활동과 경제 활동에 초점을 둔 연구뿐 아니라 장애인을 염두에 둔 첨단기술 제품과 플랫 폼 개발, 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들이 확인되었다. 반면, 연구의 기초가 되는 4차 산업혁명 기반 장애인의 욕구 실태와 관련 공공데이터 구축, 중장기적 장애인복지 정책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장애인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해 다학제 관점을 기반으로 장애인 욕구 관련 실태나 관 련 공공데이터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이 장애인 고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 고용 확대와 일자리의 질적 변화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첨단 기술 접목과 활용 및 저변 확대, 4차 산업혁명 기반 장애인 구직자 의 역량개발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인식 제고 등을 위한 정 책 및 임상의 주제들이 더욱 활발히 논의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research trends and ways to revitalize future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disabled in Korea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the final 33 academic studies and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search for the main words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sabled" since 2016, and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research by variable, keyword extraction and analysis, and contextual flow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tudies focused on employment and labor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continuous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as well as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high-tech products and platforms development and design for the disabl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tatus of the needs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lated public data construction, and mid- to long-term research on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were insufficient. In order to promote research on the disabl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policies and clinical theme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disability needs and related public data, employment, quality change, high-tech application and base, capacity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social awareness will be more actively discuss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4차 산업혁명 시대 장애인의 디지털 접근
    2. 국내·외 장애인 관련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 절차
Ⅳ. 연구결과
    1. 연구 추이 및 현황 분석
    2. 키워드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윤겸(중부대학교) | Yoonkyum Kim (Joongbu University)
  • 이경준(중부대학교) | Kyongjun Lee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