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적용방안 - 서산시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n Application of the Park Deficiency Index for the Park and Openspace Plan - Focusing on Seosan cit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전 세계적으로도, OECD, UN 등의 국제기구는 불평등·불균형 해소를 위해 포용적 성장과 포용도시 이슈를 제기하고 있고, 이에 따라 2019년 우리 정부는 ‘생활SOC 3개년 계획(안)’을 발표하며 2022년까지 핵심 SOC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불평등·불균형 해소를 위해 포용적 성장과 포용도시 이슈와 공원녹지에 관한 정책 등의 변경에 조치를 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산시 읍면동이 대안적 지표를 활용하여 공원녹지기본계획 중 공원 조성과 계획할 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한 지표를 적용하여 공원 정책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관련 문헌을 통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선행연구와 조경전문가인 관련 공무원, 연구자, 업계종사자 등 34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결핍지수를 도출하였지만 이를 공원 녹지 정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법제도 정비가 전제되어야하므로, 향후 공원결핍지수를 반영한 공원 조성 및 정책사업의 추진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Global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CED and the UN are raising inclusive growth and inclusive city issues to resolve inequality, and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is trying to establish a core SOC by 2022 by announcing the "Three-Year Living SOC Plan." In order to resolve inequality and imbalance, measures are being taken to change inclusive growth, inclusive city issues, and policies on park gree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select areas with relatively high park policy needs by applying indicators that derive objective results when creating and planning parks among the basic park green areas using alternative indicators. As a research method, concepts were established through existing related literature, and the park deficiency index was derived through expert surveys of 34 related public officials, researchers, and industry workers who are landscape experts. Although this study derived the park deficiency index,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creation of parks reflecting the park deficiency index and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projects in order to apply it to the park green polic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범위
    3.2 대상지 선정
4. 결과 및 고찰
    4.1 변수선정
    4.2 변수표준화
    4.3 가중치 설정
    4.4 공원결핍지수 도출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양근(배재대학교 대학원 원예조경학과) | Yangkeun Kim (Dept. of Horticulture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aiChai University)
  • 이시영(배재대학교 조경학과) | Shiyoung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 최재혁(배재대학교 조경학과) | Jaehyuck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