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숲 기능에 따른 국내ㆍ외 사례 분석 KCI 등재

Analysing Function-Focused Cases of Internal and External Urban For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도시지역 내 도시숲이 지닌 다양과 기능과 혜택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국내외 정책동향 과 대표사례분석을 통한 기초자료 구축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도시숲 정책 동향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국내·외 50개의 도시숲 사례를 수집하여 주제기반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Nvivo 소프트웨어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책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도시숲법)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계획과 도시숲법 관련 법률이 도시숲법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 체계, 조성 및 관리, 구역지정 등의 선행자료를 제공하였다. 즉, 관련법률의 분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도시숲 기능을 바탕으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휴양 및 복지와 생태계보전의 목적이 강하게 나타났다. 다만, 국내에서는 경관보호를 국외에서는 기후보호에 도시숲의 기능이 분산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도시숲 기능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외에서 다른 상호연결성을 보였으나 공통적으로 도시숲 기능의 다양성 추구와 민간참여의 활성화가 도시숲의 기능 극대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정책은 도시숲의 기능 극대화 측면에서 기후변화 대응확대, 물/홍수관리, 지속적 휴양 및 복지강화, 수목의 캐노피 확대, 파트너쉽 기반 이해관계자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도시숲이 가져다주는 기능의 극대화를 통해 인간의 삶의 질과 자연의 건강성을 녹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benefits derived from the positive functions of urban forest. However we don’t know well as to how extents of the functions are well-delivered to harness the benefit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cases of internal and external urban forest, analysing the trend of policy and the cases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urban forest. To address the aim this study employed theme-based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utilising Nvivo. As a result, firstly the policy provided prior data such as function, system, creation and management, and designation of zones for the construction of urban forests laws and related laws, focusing on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Act」. Second, analysing internal and external cases based on the function of urban forests, the purpose of recreation and welfare and ecosystem preservation were outweighted in common. However, it was found that in Korea, the function of urban forests was dispersed in climate protection abroad. Third, analysing the interrelationship of urban forest funct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pursuit of diversity of urban forest functions and the activation of private participation contributed to the maximisation of urban forest functions at internal and external. Based on these results, domestic policies should present policies to expand climate change response, manage water/flood, strengthen continuous recreation and welfare, expand tree canopy, and revitalise participation of partnership-based stakeholders.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 health of nature through maximising the functions of urban forest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범위 및 내용
    2.2 주제기반 분석(Theme-based Analysis) 및 사례분석
    2.3 클러스터 분석 (Nvivo)
3. 결과 및 고찰
    3.1 국내 정책 동향 분석
    3.2 국내·외 도시숲 기능에 따른 분석
    3.3 국내·외 도시숲 기능에 따른 클러스터 분석
    3.4 도시숲 정책 시사점
4. 결론
References
저자
  • 남진보(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Jinvo Na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배현미(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Hyun Mi B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창훈(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Chang Hun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