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한국문화 교육 활동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classroom activities for teaching Korean culture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어문화교육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어문화교육학회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 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한국문화 교육 활동을 설계하는 것이다. 연구는 다중지능의 핵심 요소와 Armstrong (1994)에서 제시된 교수법을 토대 로 다양한 다중지능 영역의 문화 활동 리스트를 설계하였고, 특정 교 재를 중심으로 문화 활동의 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설계된 활동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한국문화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 국 대학 한국어학과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16주간 실험 수업을 진행했다. 실험과정에 주로 다중지능 검사, 데이터 통계, 설문 조사 등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테스트와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교육 활동을 한국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타당성이 있다. 둘째, 다중지능 활동을 적극적 으로 활용하는 교수법은 학생들의 학습성취도와 정의적인 측면에 모 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classroom activities for teaching Korean culture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Based on the core element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 teaching methods proposed by Armstrong (1994), the author designed a list of cultural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ut forward corresponding application cases of cultural activities around specific textbooks.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and analyze its influence on Korean culture and education, the author conducted a 16-week teaching experiment on 40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t a Chinese university. The whole experimental process adopts multiple intelligence test, data statistics, questionnaire survey and other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ata an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ly, it is feasible to apply the teaching activitie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to Korean 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active use of multiple intelligence activities teaching method can have a certain degree of positive impact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emotional level.

목차
1. 들어가기
2. 선행연구
3. 다중지능영역별 문화교육 활동 설계
    3.1. 여덟 가지 지능의 핵심 요소
    3.2. 문화 교육 활동 리스트
    3.3. 문화 교재에 적용한 활동 사례
4. 실험과정 및 결과 분석
    4.1. 실험 대상
    4.2. 실험 내용과 절차
    4.3. 실험 결과
5.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교우경(장춘과학기술대학교) | Qiao, Yuqiong (Changchun Sci-Tech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