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칭에 대한 코치의 주관적 인식 연구 KCI 등재

Coach's Subjective Perception of Coac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코칭(Coaching)에 관한 코치의 주관적 인식을 알아보고자 Q방법 론을 적용하여 코칭에 대한 인식유형과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학술적인 코칭의 개념을 넘어서 실제로 코치들이 코칭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를 통해 코칭에 대한 학문적인 개념과 실제적인 인식의 갭(Gap)을 줄여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코치협회 인증코치 33명을 P샘플로 선정하여 31개의 진술문을 Q분류한 것을 Quanl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가지로 분류되었 다. 제1유형은 ‘실천문화 강조형’, 제2유형은 ‘선한영향 확대형’, 제3유형은 ‘자아 성찰 자각형’, 제4유형은 ‘실질적인 도구형’ 이였다. 이를 통해 근본적인 코칭에 대한 인식을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측면과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측면으로 살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coaches on the concept of coaching.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he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oaching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how coaches actually perceive coaching beyond the definition of academic coaching. Through this, we tried to prepare a way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academic concept and the practical perception of coaching. As a P sample, 33 certified coaches from the Korea Coach Association were selected and 31 statements were Q-sor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factors using the Quanl program, the perception of the coaching concept was sort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was ‘Practical culture emphasis type’, the second type was ‘Good influence expanded type’, the third type was ‘Self-reflection awareness type’, and the fourth type was ‘Realistic tool typ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perception of fundamental coaching in micro and macro aspects and realistic and ideal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의 개념과 변화
    2. 코칭과 유사영역
Ⅲ. 연구방법
    1. Q모집단 구성
    2. Q표본 선정
    3. P표본 선정
    4. Q표본 분류
    5. 자료처리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결과분석
    2. 코칭에 대한 코치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인식유형 특성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혜원(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교육학 박사과정) | Lee Hye won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 이나영(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교육융합학과 박사수료) | Lee Na young (Doctoral Student, Life and Death Studies, Hallym University)
  • 김휘경(한국코치협회 역량강화위원회 연구국장) | Kim Hwykyoung (Director of Research, Korea Coach Association Empowerment Committ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