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복원 대상 후보지 추출을 위한 딥러닝 접근법 KCI 등재

Deep Learning Approaches for Extracting Forest Restoration Target Si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이미지 인식에 특화된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딥러닝 기법은 영상의 항목별 분류가 필요한 다양한 연구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물, 도로, 논, 밭, 산림, 나지의 6가지 항목을 산림복원 대상 후보지로 정의하고 CNN 기반의 산림복원 대상 후보지 추출 및 분류의 최적 방법론을 탐색하였다. 6,640개의 데이터셋을 75:25의 비율로 훈련(4,980개) 및 검증(1,660개)로 구분하여 구축하고 학습에 활용하였다. 모델별 정확도는 픽셀정확도(PA), 평균 교차 겹침 결합(Mean IoU)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픽셀정확도는 90.6%, 평균 교차 겹침 결합은 80.8%로 산정되어 Inception-Resnet-v2 모델이 세 모델 중 가장 산림복원 대상 후보지 추출에 뛰어난 정확도를 보였다. 이 결과는 기존의 산림복원 대상 후보지 현장조사 혹은 항공사진을 활용한 조사에 비해 시공간적 이점을 가지며, 향후 산림복원 대상지 선정 자료로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Many studies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deep learning are increasing for efficient monitoring of the forest resources. We defined six semantic classes of buildings, roads, paddy fields, fields, forests, and barren as forest restoration target sites and explored the optimal methodology for extracting and classifying target sites for forest restoration based on CNN. The datasets (6,640) were divided at a ratio of 75:25 into training (4,980) and validation datasets (1,660). The accuracy of each model was evaluated using pixel accuracy (PA) and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Mean IoU). PA was calculated as 90.6% and Mean IoU was 80.8%, and the Inception-Resnet-v2 model showed excellent accuracy in extracting target sites for forest restoration among the three models. This result has a Spatio-temporal advantage over the existing field survey for forest restoration sites or surveys using aerial photographs by manually.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restoration sites efficiently and support forest restoration.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및 대상지
    2. 연구체계
    3. 산림복원 대상 후보지 선정
    4. U-Net 학습
    5. 전이학습 모델선정 및 학습 환경설정
    6. 정확도 평가
결과 및 고찰
    1. 전체 분류정확도 산정
    2. 항목별 분류정확도 산정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손은희(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생) | Eun Hee Son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하의린(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생) | Ui Rin Ha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송정은(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연구본부 센터장) | Jungeun Song (Forest Research Bureau,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박천희(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연구본부 과장) | Chunhee Park (Forest Research Bureau,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박윤선(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연구본부 대리) | Yoonsun Park (Forest Research Bureau,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김형호(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교수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Hyungho Kim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