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 산림지역 고등균류의 다양성 및 분포 특성 KCI 등재

Species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the Higher Fungi in the Southern Forest Areas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남부 산림지역 고등균류의 임상별 분포 특성 및 다양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 임상별 8개씩 총 24개의 고정조사구에서 고등균류를 채집한 결과, 868점의 표본을 채집하였으며, 2문, 6강, 17목, 61과, 134속, 367종으로 동정되었다. 부생성 균류가 62.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공생성 균류 35.03% 기생성 균류 2.53% 순으로 조사되었고, 우점종은 구름송편버섯 (Trametes versicolor)과 맑은애주름버섯(Mycena pura)으로 확인되었다. 해발고도에 따른 고등균류의 분포는 299m 이하의 조사구에서 74종, 300∼499m에서 299종, 500m 이상에서 153종이 조사되었으며, 채집 시기별 고등균류의 분포는 7, 8월에 각각 190, 152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 다. 임상별로는 활엽수림에서 192종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혼효림 177종, 침엽수림이 149종으로 조사되었고, 지역별, 고도별, 시기별, 임상별 모두 부생성 균류가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종다양도는 300∼499m의 활엽수림에서 7월에 2.2로 가장 높았고, 종 균등도는 고도별, 시기별, 임상별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0.93-0.97).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남부 산림지역 내 고등균류 분포 특성 및 다양성 결과들은 향후 수행될 고등균류 분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Higher fungi were collected in 24 different locations in two southern forest areas of South Korea. Eight hundreds sixty-eight fruiting bodies of higher fungi were collected,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2 phyla, 6 classes, 17 orders, 61 families, 134 genera and 367 species. Ecological roles of the higher fungi were composed of 62.44% saprophytic, 35.03% symbiotic and 2.53% parasitic. The most dominant species were Trametes versicolor and Mycena pura in southern forest areas.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was found at elevations of 300∼499m altitude (229 species), in July and August (152∼190 species) and in broad-leaved forest (192 species). Amanita citrin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t the elevations of below 299m, while T. versicolor which was most dominant species in broad-leaved and mixed forest and Mycena pura found from all the forest types were the most dominant species at 300∼499m and above 500m in elevations, respectively. Diversity analyses of higher fungi showed that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2.2 in 300∼499m altitude, July and the broad-leaved forest, while the evenness indices (J’) were similar in elevations, survey periods and forest types (0.93∼0.97).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구 설치 및 지리 및 식생 환경조사
    2. 고등균류 채집
    3. 고등균류 동정
    4. 고등균류 군집분석
결과 및 고찰
    1. 고등균류 조사지의 지리 및 식생환경 특성
    2. 지역별 고등균류 특성
    3. 해발고도별 고등균류 특성
    4. 채집 시기별 고등균류 특성
    5. 임상별 고등균류 특성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남규(가톨릭관동대학교 산림치유학과 조교수) | Nam-Kyu Kim (Forest Healing Department,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김태우(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계훈련원 과장) | Tae-Woo Kim (Forestry Machinery Training Center,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 이진흥(가톨릭관동대학교 산림치유학과 조교수) | Jin-Heung Lee (Forest Healing Department,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이상곤(경상국립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대학원생) | Sang-Gon Lee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미송(경상국립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대학원생) | Mi-Song Kim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종규(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명예교수) | Jong-Kyu Lee (Division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신금철(경상국립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교수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Keum-Chul Shin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