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주요 산업의 학력별 인적자원 배분 결정요인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Educational Human Resources in Korean Major Indust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2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1990년대 이후 한국경제에서 경제 서비스화와 학력별 임금격차 확대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 서 학력별 노동수요의 결정요인분석을 위해 먼저 인적자본론을 바탕으로 노동을 고학력노동과 저학력노 동으로 분리하였다. 생산함수는 콥-다글라스 함수로 가정하고 생산요소는 물적자본(K), 저학력노동( ) 과 고학력노동( )으로 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외생변수로 기술진보(t), 산출량(Q)과 세계화()를 상 정한 학력별 노동수요함수를 도출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로그선형회귀모형을 설정하고 한국의 주요 3 개 산업(제조업, 건설업, 금융업)의 학력별 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3개 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학력별 노동수요는 생산요소 상대가격보다는 생산량, 기술변화와 세계화 등 외생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고학력노동수요 중심의 노동시장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학력별 노동의 상대임금이 학 력별 노동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을 정도로 학력별 노동시장은 분절되어 있다. 둘째, 생산량 증가(감 소)는 건설업의 고학력노동과 저학력노동수요에 가장 큰 고용증가(구축)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건설업 이 경기변동에 가장 민감한 산업임을 알 수 있다. 기술진보는 제조업의 저학력노동에 가장 큰 고용구축효 과를, 금융업의 고학력노동에 고용증가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세계화는 제조업에서 저학력노동과 고학력 노동의 고용증가효과를, 금융업에서는 고학력노동의 고용증가효과를 가져왔지만 건설업에서는 학력별 노동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주요 산업의 고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요소 상대가격 변화를 통한 정부정책이나 기업전략은 학력별 노동수요에 대한 영향이 미미하여 제한적일 수밖 에 없다. 둘째, 기술진보로 인해 제조업에서는 저학력노동의 고용구축효과에 따른 기업의 노무관리가 필 요하다. 반면 금융업에서는 기술진보와 세계화로 인한 고학력노동의 고용증가효과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 차원에서는 기존노동의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이, 정부차원에서는 인재양성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건설업 은 경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경기호불황에 대비하기 위한 기업의 고용안정전략이 필요하다.

Since the 1990s, Korean economy has moved to service industry and educational wage discrepancy has been widen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ducational labor demands, labor was divided into high-educated( ) and low-educated labor( ) based on human capital theory. The Cobb-Douglas function, with physical capital(K),  , and  , was assumed and educational labor demand’s functions, including output(Q), globalization(G) and technological progress as exogenous variables, were induced. The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labor demands in Korea's three major industries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financial industries) were compared and empiric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in terms of three major industries, the follow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First,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labor demand market is changing, influenced by exogenous factors such as production volume, technology change, and globalization rather than the relative price of production factors. Second, the increase (decrease) in produc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demand for high-educated and low-educated lab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echnological progress had the greatest crowd-out effect of low-educated labo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employment increase effect of high-educated labor in the financial industry. Third, globalization had an employment increase effect onf low-educated and high-educated labo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on high-educated labor in the financial industry, but it h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ducational labor demand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employment in major Korean industries are provided. First, government policies or corporate strategies through changes in factor relative prices are bound to be limited because the impact on educational labor demands is insignificant. Second,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the manufacturing industry needs to manage corporate labor according to the crowd-out effect of low-educated labor. On the other hand, in the financial industry, lab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at the corporate level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at the government level to prepare for the employment increase effect of high-educated labor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and globalization. Third, since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sensitive to the economy, an employment stabilization strategy is needed to prepare for the economic recession.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1. 인적 자본론과 학력별 노동시장
    2. 기술 진보와 학력별 노동수요
    3. 세계화와 학력별 노동수요
Ⅲ. 주요 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구조 변화
    1. 학력별 고용구조
    2. 학력별 임금구조
Ⅳ. 실증분석 방법
    1. 추정모형 설정
    2. 통계 데이터
    3. 통계분석 방법
Ⅴ. 추정 결과와 해석
    1. 추정 결과
    2. 추정 결과의 해석
Ⅵ. 결론 및 토의
    1. 연구 결과 요약 및 해석
    2. 연구 의의와 시사점
    3.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권영규(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Younggyu Kwean
  • 백창현(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Changhyun Baik Corresponding author
  • 유일선(한국해양대학교 해양인문사회과학대학 교수) | Ilseon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