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ans of Adaptation of National Grid Standards for Geospatial data on Agricultural Environment: Development of Automatic Conversion Tool and Strategic Plans
스마트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업환경 데이터의 관측과 모델 그리고 통계자료의 상호운영성 확보가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격자체계의 적용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국내외 격자체계 표준에 대한 사례조사와 농업분야의 격자표준 적용사례조사를 벤치마킹하고 국립농업과학원과 상위기관의 표준현황을 살펴보고, 농업환경 공간정보의 목록과 분류체계를 구축한 후,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여 적정한 격자 크기를 선정하였다. 농업환경 공간정보의 공유와 활용을 위하여 국토지리 정보원의 기관표준을 차용하여 군 이하 소규모 지역은 10m, 광역시・도는 100m, 농촌경관 목적으로는 500m, 전국은 1km 격자 크기로 안을 제시하였고 원활한 표준 적용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 현장 조사 및 관측 결과를 격자로 변환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기반의 변환 툴을 개발하여 격자표준 적용 용이성과 시간 절약성을 확보하였다.
In order to facilitate smart agriculture, it is very important to observe agricultural environment data, to secure the interoperability of models and statistical data. We aim to explore the ways to establish the grid system. After benchmarking domestic and abroad grid system standards and surveying, we investigate grid standard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apply the standard stat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higher institutions. We build a catalogue with a classification system of spatial information o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The appropriate grid size was se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to identify the user requirements. It was suggested that a grid size of 10m be in the county, 100m in cities and provinces, 500m in rural landscapes, and 1km in all parts of the whole country. The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of standards in action were proposed, and at the same time, open source-based converting tools were developed to easily convert on-site survey and observation results into standardized grids, and to save time to manage the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