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방도시재생 리빙랩 프로젝트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전주 물왕멀 사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Development of Local City Living Lab Evaluation Indicators - Focusing on the Case of Mulwangmeol Community, Jeonju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도시재생 리빙랩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지표를 마련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지방소멸의 전형적인 사례인 전주 물왕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전주의 도시재생 리빙랩인 물왕멀공동체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러 평가 지표 중 특히 민주성에서도 주민의 참여비중과 주민 누구나 참여가능한지의 여부를 매우 중요하게 인식했다. 이는 향후 사업책임자의 선정 시 중요하게 평가되고 고려되어야 할 지표를 시사해 준다. 종합하면, 지방도시재생 리빙랩의 성패는 주요 이해관계자인 주민의 참여에 달려있다. 특히 노령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방 축소도시의 특성상, 고령자의 눈높이에 적합한 사업을 선정하고 집행하는 한편 높은 전문성을 가진 사업책임자를 배치하여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주민의 참여욕구를 충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indicators for local city living labs. Particularly,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case of Mulwangmeol Community, Jeonju, a typical case of local extinction. After analyzing the questionnaire data of local city living lab stakeholders including its residents, it is found that the level of democracy in business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of evaluation; thus, it is imperative and expected that business directors promote these aspects of the proj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indicators should be adopted and considered important when project managers are selected in the future. In particul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hrinking local city with a high percentage of senio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seniors by selecting and implementing projects suitable for their perspectiv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도시재생 리빙랩
    2.2 지역혁신역량과 평가활동
    2.3 정책평가 기준과 도시재생 리빙랩 평가지표
3. 연구방법
    3.1 지방도시재생 리빙랩 평가지표의 개발
    3.2 물왕멀공동체 현황
    3.3 평가항목 구성
    3.4 이해관계자 대상 설문조사
4. 결과 및 고찰
    4.1 요인분석 및 AHP 분석
    4.2 서울 사례와의 비교
    4.3 평가지표의 활용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은지(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 Eunjee Kim (Dept. of Content Convergenc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og Author
  • 박영일(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Youngil Park (Dept. of Content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